제322회 음성군의회(임시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록
제1호
음성군의회사무과
2020년 4월 22일(수) 11시 11분
□의사일정(제1차 회의)
1.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ㆍ간사 선임의 건
2. 2020년도 제1회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3. 2020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심사된안건
1.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ㆍ간사 선임의 건
2. 2020년도 제1회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3. 2020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ㅇ제안설명: 기획감사실장
ㅇ검토보고: 전문위원
ㅇ세입예산 설명: 세정과장
ㅇ세출예산 심사
가. 의회사무과
나. 기획감사실(읍면)
다. 자치행정과
라. 미디어정보과
마. 평생학습과
바. 주민지원과
사. 사회복지과
아. 회계과
(11시11분 개회)
지금부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제32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7분이 선출되셨습니다. 선출되신 7분 모두 참석하시어 정족수에 달하였으므로 「음성군의회 위원회 조례」제3조제2항에 따라 연장위원이신 안해성 위원님의 사회로 위원장을 선출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지금부터 2020년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회하겠습니다.
1.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ㆍ간사 선임의 건
(11시11분)
특별위원회 위원장과 간사 선임은 「음성군의회 위원회 조례」제3조제1항 및 제6조제2항에 따라 위원회에서 호선하여 본회의에 보고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호선방법은 구두추천에 의하되 추천된 위원이 1인일 경우에는 이의유무를 물어 의결하고, 추천된 위원이 2인 이상일 경우에는 다수결에 의하여 거수로 표결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방금 말씀드린 대로 위원장과 간사를 선출하겠습니다.
그러면 먼저 위원장 추천을 받겠습니다. 위원장을 어느 분으로 하면 좋을지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효석 위원님 추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추천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추천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서효석 위원님을 위원장으로 선임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최용락 위원님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위원장 선임이 끝났으므로 방금 선임된 위원장과 사회를 교대하도록 하겠습니다.
(안해성 위원장직무대행, 최용락 위원장과 사회교대)
이상으로 간략하게 부탁과 당부의 말씀으로 인사를 갈음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간사를 선출하겠습니다. 간사를 어느 분으로 하면 좋을지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해성 위원님!
또 추천하실 분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추천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임옥순 위원님을 간사로 선임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임옥순 위원님께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로 선임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간사로 선임되신 임옥순 위원님께서는 자리에서 간단하게 인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2020년도 제1회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3. 2020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11시15분)
기획감사실장께서는 나오셔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ㅇ제안설명: 기획감사실장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의 총규모는 6,754억 8,300만원으로 일반회계 6,017억 7,700만원, 특별회계 737억 500만원입니다. 이는 기정예산액 6,172억 4,600만원보다 582억 3,600만원이 증가된 규모로 일반회계에서 570억 4,500만원을, 특별회계에서 11억 9,100만원을 각각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외수입은 기타사용료로 음성화훼유통센터 시설사용료 6,700만원과 임시적세외수입으로 성안제2산업단지 개발과 농어촌관광휴양단지 개발사업에 따른 공유재산매각대금 13억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지방교부세는 보통교부세 6억 6,900만원, 특별교부세 11억 1,3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조정교부금등은 일반조정교부금 20억원, 특별조정교부금 16억 4,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조금으로 국고보조금은 131억 5,9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균형발전특별회계보조금은 23억 8,700만원, 기금은 5억 4,600만원, 도비보조금은 54억 1,700만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는 순세계잉여금 239억 8,900만원, 국고보조금 사용잔액 36억 5,600만원, 도비보조금 사용잔액 17억 300만원, 기타회계전입금 2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한 분야별 주요사업 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공공행정 분야에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사업 12억원, 평생학습관 건립사업 5억 9,8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는 풍수해 종합개발사업 2억 5,900만원, 자연재난 예방사업에 1억 1,2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교육 분야는 지역교육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 7,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환경 분야는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사업 16억 2천만원, 신매립장 운영비 10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회복지 분야는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30억원,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사업 20억 2,500만원, 아동양육 한시 지원사업 16억 5,900만원, 신종감염병 생활지원비 1억 9,9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보건 분야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예방관리사업 4억 6,400만원, 음압구급차 지원사업 2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림해양수산 분야는 코로나19 취약계층 농업인 소득보전지원사업 1억 300만원, 음성명작페스티벌 6억 5천만원, 음성읍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6억 2,300만원, 친환경농업교육관 신축사업 18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산업ㆍ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는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고정비용 지원 20억 5,200만원, 코로나19 지역고용대응 특별지원 6억 3,500만원, 충북혁신도시 에너지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36억 5천만원, 지역사랑상품권 특별할인 6억원, 외국인투자기업 지방투자보조금 111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교통 및 물류 분야는 군도 확장ㆍ포장사업으로 갑산~갑산 간 확장ㆍ포장사업 등 2개 사업에 2억 2천만원, 농어촌도로 확장ㆍ포장사업으로 하당~상당 간 농어촌도로 확장ㆍ포장사업 등 3개 사업에 2억 5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는 음성읍 전선 지중화사업으로 10억원, 감곡면 도시재생뉴딜사업 10억원, 금왕읍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6억 4,300만원, 소규모 주민숙원사업으로 음성 삼생4리 농로포장공사 등 45개 사업에 12개 8,3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비비는 일반예비비 6억원, 재해ㆍ재난목적예비비 11억 6,400만원을 각각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기타 분야는 행정운영경비로 7,8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특별회계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특별회계예산안의 총규모는 737억 500만원으로 공영개발특별회계 등 3개 공기업특별회계 542억 6,900만원, 의료급여특별회계 등 10개의 기타특별회계 194억 3,600만원으로 기정예산 725억 1,400만원 대비 11억 9,100만원이 증가한 규모입니다. 회계별 예산편성 주요내역을 설명드리면, 먼저 공영개발특별회계는 기정예산보다 25억 1천만원이 감액된 17억 1,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상수도사업특별회계는 기정예산보다 6,200만원이 증액된 226억 6,7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금왕보조배수지 송배수관로 설치사업에 6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하수도사업특별회계는 기정예산보다 11억 4,700만원이 증액된 298억 8,8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하수슬러지처리시설 관리대행비에 4억원, 공공하수관로 관리대행운영비 4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타특별회계는 기정예산보다 19억 5,200만원이 증액된 194억 3,6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의료급여특별회계는 결산잉여금 반환금 등 1억 3,6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저소득주민생활안정자금특별회계는 일반회계전출금 3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새마을주민소득지원기금특별회계는 일반회계전출금 17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공산업단지특별회계는 농공산업단지 유지보수비 3억원, 관리기본계획 및 산업단지계획 변경용역비 1억 9천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차장운영특별회계는 주차장 환경 개선사업 3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대시보상임시특별회계는 장기미집행 대지보상비 8,2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음성군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입니다. 총 11개의 기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기정예산보다 2억 7,700만원이 증액된 140억 5천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계속비 이월사업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계속비 이월사업은 본예산에 계상한 22개 사업에 일반회계 추가 1개 사업으로,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교육관 신규사업을 계속비 이월사업으로 계상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번 추경예산안과 관련하여 부분별 세부사업에 대하여는 관련 부서장들로 하여금 상세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위원님들의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원안대로 승인될 수 있도록 배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0년도 제1회 음성군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은 전문위원으로부터 검토보고를 듣겠습니다.
ㅇ검토보고: 전문위원
12쪽 검토의견입니다. 총예산규모는 기정액 대비 9.4%인 582억 3,600만원 증액한 6,754억 8,300만원으로 일반회계는 기정액 대비 10.5 %인 570억 4,500만원 증액한 6,017억 7,700만원이 편성되었고, 특별회계는 기정액 대비 1.6%인 11억 9,100만원 증액한 737억 500만원이 편성되었으며, 기금은 기정액 대비 2억 7,700만원 증액한 140억 5천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지방세수입 1,059억 1,400만원, 세외수입 320억 5,800만원, 지방교부세 1,718억 6,300만원, 조정교부금등 237억 8천만원, 국도비보조금 2,196억 4,600만원, 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는 483억 4,800만원으로 이 중 일반회계 예산액 대비 자체수입인 지방세와 세외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은 22.9%로 전년도 1회 추경 대비 1.6% 감소하였고, 의존재원인 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국도비보조금은 69%로 2.1% 감소되었습니다. 자체재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년도 1회 추경 대비 소폭이지만 감소한 사유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경기침체가 원인으로 보이나, 건전한 재정 운용을 위해서는 자주재원 확충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세외수입의 경우 경상적세외수입은 사용료 수입만 4.8% 증가되었으며 다른 과목은 기정예산액 대비 변동사항이 없습니다.
13쪽입니다. 임시적세외수입인 재산매각수입이 성안제2산업단지 개발과 농어촌관광휴양단지 개발사업으로 기정예산액 대비 1,300%인 13억원이 증가되었고, 기타수입은 기정예산액 대비 3.2% 감소되었습니다. 일반회계 세출 면에서는 일반공공행정 분야 310억 4,800만원,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 82억 8,500만원, 교육 분야 39억 5,300만원, 문화 및 관광 분야 271억 9천만원과 환경 분야 397억 2천만원, 사회복지 분야 1,802억 2,600만원, 보건 분야 173억 900만원, 농림해양수산 분야 893억 4,500만원, 산업ㆍ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 297억 6,700만원, 교통 및 물류 분야 297억원,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 650억 7,800만원, 예비비 51억 400만원, 기타 750억 4,60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기금은 장애인복지기금 등 11개 기금으로 기정액 대비 2.0%인 2억 7,700만원 증액된 140억 5천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이는 2019회계연도 결산내역이 반영되었으며, 광역폐기물종합처리시설 주민지원기금에 주변마을 지원사업과 재난관리기금의 재난관리사업 등이 증액되었으며, 기금별 예치금 과목이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의존재원인 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등, 보조금이 주요 재원으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사업 12억원, 코로나19로 인한 긴급재난지원금 30억원과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 20억원, 아동양육 한시지원 16억원, 소상공인 고정비용 지원 20억원과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15억원, 충북혁신도시 에너지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36억원,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사업 16억원, 외국인투자기업 보조금 111억원, 혁신도시 어린이도서관 건립과 대소도서관 증축 및 리모델링사업에 19억원, 음성생활체육공원 토지보상비 15억원 등입니다.
14쪽입니다. 불요불급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의 일부 예산을 삭감하여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취약계층 및 소상공인 지원과 중앙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계획에 따른 예산편성 등 민생안정에 집중하였으며, 중앙 및 충청북도의 추경 편성과 관련하여 원활한 사업 추진과 미래신성장동력산업, 안정적 일자리 확대, 지역균형발전 등을 반영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역점을 두고 적정하게 예산을 편성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지방재정의 어려운 여건을 감안하여 신규사업에 대하여는 사업의 필요성, 국도비 매칭비율 등 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면밀한 예산 심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법적 근거로는 「지방자치법」제39조, 「지방재정법」제45조,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제11조의 규정에 의거 지방의회의 심사와 의결을 받아 시행하려는 것으로 검토되었습니다.
이상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예산안 설명과 검토보고를 들으셨습니다.
이어서 세입예산을 심사하겠습니다.
세정과장께서는 세입예산에 대하여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검토보고서」 부록에 실음)
ㅇ세입예산 설명: 세정과장
다음은 106페이지입니다. 조정교부금등은 36억 4,578만 5천원이 증가한 237억 8,078만 5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중 시군조정교부금 등의 시군일반조정교부금은 20억원 증가한 220억원으로 계상하였고, 시군특별조정교부금은 주민지원과 소관 장애인복지관 리모델링사업 등 13건에 16억 4,578만 5천원이 증액된 17억 8,078만 5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107페이지입니다. 보조금은 215억 1,092만 3천원이 증가한 2,196억 4,645만 7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중 국고보조금 등은 자치행정과 소관 인력운영비 등 157개 사업비로 160억 9,367만 1천원이 증가한 1,649억 8,633만 5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13페이지까지 세부내용은 세출예산 심사 시 해당 부서에서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113페이지입니다. 시도비보조금 등은 자치행정과 소관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등 161개 사업비로 54억 1,725만 2천원이 증가한 546억 6,012만 2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20페이지까지 세부내역은 역시 세출예산 심사 시 해당 부서에서 자세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20페이지입니다. 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는 293억 5,042만 7천원이 증가한 485억 1,386만 7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중 잉여금은 순세계잉여금 239억 8,916만 6천원이 증액된 429억 8,916만 6천원을 계상하였고, 전년도이월금은 국가보조금 사용잔액 36억 5,608만 4천원과 도비보조금 사용잔액 17억 307만 5천원을 반영한 53억 5,915만 9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비와 도비보조금 사용잔액은 세출예산 심사 시 해당 부서에서 자세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부거래는 기타회계 전입금 210만 2천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세입예산에 대해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세정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어서 세출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을 심사하겠습니다. 오늘은 의회사무과, 기획감사실, 자치행정과, 미디어정보과, 평생학습과, 주민지원과, 사회복지과, 회계과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해당 부서장께서는 예산안 설명 전에 참고자료 먼저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의회사무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의회사무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ㅇ세출예산 심사
가. 의회사무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참고)
이상으로 의회사무과 소관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의회사무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기획감사실 및 읍면 소관 예산에 대하여 기획감사실장께서는 일괄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기획감사실(읍면)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참고)
이상으로 읍면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기획감사실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원활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회의를 중지하고자 합니다. 회의는 14시에 시작하기로 하고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49분 회의중지)
(13시59분 계속개회)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자치행정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자치행정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자치행정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참고)
이상으로 1회 추경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김영호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해성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자치행정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미디어정보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미디어정보과장님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 미디어정보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 참고)
이상으로 미디어정보과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서효석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해성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미디어정보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평생학습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평생학습과장님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마. 평생학습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 참고)
이상으로 평생학습과 소관 2020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안해성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효석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평생학습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주민지원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주민지원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바. 주민지원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 참고)
이상 주민지원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서효석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의장님!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주민지원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사회복지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사회복지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 사회복지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 참고)
이상 사회복지과 2020년 제1회 추경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효석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사회복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회계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회계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회계과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 참고)
이상으로 회계과 2020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효석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질의ㆍ답변을 마치겠습니다.
회계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사업별설명서」 부록에 실음)
내일 오전 10시 이 자리에서 문화체육과 외 11개 부서의 예산 심사를 계속하겠습니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면 오늘의 회의를 모두 마치고자 합니다.
위원 여러분! 다른 의견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산회를 선포합니다.
(15시10분 산회)
안해성 위원 서효석 위원
서형석 위원 김영섭 위원
김영호 위원 최용락 위원
임옥순 위원
○위원아닌의원
의장 조천희
○출석전문위원
전문위원 오상순
전문위원 전혁동
○출석공무원
부군수 신형근
행정복지국장 송동주
경제산업국장 허 금
기획감사실장 윤봉한
자치행정과장 이순원
미디어정보과장 윤상섭
평생학습과장 정영훈
주민지원과장 이정진
사회복지과장 박제욱
세정과장 구자평
회계과장 이재옥
의회사무과장 최태옥
○회의록서명
위원장 최용락
간사 임옥순
전문위원 오상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