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3회 음성군의회(제2차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록
제2호
음성군의회사무과
2014년 12월 9일(화) 09시 59분
□의사일정(제2차 회의)
1.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심사된안건
1.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가. 종합민원과
나. 행정과
다. 문화홍보과
라. 경제과
(09시59분 개회)
성원이 되었으므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개회하겠습니다.
1.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09시59분)
오늘은 종합민원과, 행정과, 문화홍보과, 경제과 순으로 심사하고자 합니다.
먼저, 종합민원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종합민원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먼저 설명해 주시고 세입ㆍ세출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 종합민원과
99페이지입니다. 2015년 주요사업 예산편성 계획에 종합민원과는 총 4건입니다. 도로명안내시설 설치 유지보수사업 6천만 원, 도로명주소 정보화 사업 924만 6천 원, 도로명주소 기본도 유지보수사업 357만 3천 원, 민원만족도 및 전화친절도 조사 1,800만 원입니다.
100페이지입니다. 도로명안내시설 설치 유지보수사업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도로명 안내시설 설치 유지보수사업입니다. 사업량은 도로명판 170개 정도 교체설치할 예정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이고, 총사업비는 6천만 원입니다. 재원투자계획은 2014년도 6천만 원, 2015년도 6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설물 일제조사를 상반기 중 실시하고, 하반기에 도로명주소 안내시설물 정비 및 유지보수를 실시토록 하겠습니다.
102페이지입니다. 도로명주소 정보화 사업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국가주소정보시스템 유지관리이고, 추진방식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업무위탁으로 시행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이고, 사업비는 924만 6천 원입니다. 재원투자계획입니다. 2014년에는 766만 2천 원이고 2015년도에는 924만 6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국가주소정보시스템 유지관리 및 도로명주소 정보제공과 자치단체에서 도입하여 운영 중인 GIS 소프트웨어 유지관리에 있습니다.
103페이지입니다. 도로명주소 기본도 유지보수사업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도로명주소 기본도 유지보수 사업이고 추진방식은 전문기관에 업무위탁 시행하게 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사업비는 357만 3천 원입니다. 2014년도에 495만 7천 원이었고, 2015년도에는 357만 3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위치결정이 어려운 도로ㆍ건물에 대한 지적현황측량을 실시하고, 기존 측량결과 및 항공사진 등 참고자료를 활용한 위치 결정하여 자료를 생산하는 데 있습니다.
104페이지입니다. 민원만족도 및 전화친절도 조사 사업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민원만족도 및 전화친절도 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서, 사업량은 민원만족도 조사 1회, 전화친절도 조사 2회를 실시토록 할 예정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하반기 중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총사업비는 1,8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재원투자계획은 2014년도에 2천만 원, 2015년도에는 1,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민원만족도 조사는 민원서비스를 이용한 모든 군민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조사를 실시하게 되겠고, 전화친절도 조사는 군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화 모니터링을 실시하게 되겠습니다.
다음은 2015년 본예산 세출예산안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51페이지입니다. 종합민원과는 2014년보다 2억 7,964만 5천 원이 감액된 6억 2,52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민행정편의도모 민원 편의시설 관리 사무관리비 463만 6천 원, 공공운영비 245만 원, 민원 편의시설 관리로 708만 6천 원을 계상하였고, 민원업무추진 사무관리비 4,866만 8천 원, 공공운영비 218만 4천 원 등 일반운영비로 5,08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52페이지입니다. 민원업무추진 여비 1,240만 원, 민원 사전예방 대책비 3천만 원, 민원만족도 및 전화친절도 조사 용역 1,800만 원, 포상금 330만 원 등 민원업무추진으로 1억 1,45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민등록인감업무 사무관리비 3,312만 원, 자산 및 물품취득비 585만 원 등 주민등록 인감업무로 3,89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53페이지입니다. 여권발급 운영 여권분소 운영 248만 4천 원, 신용카드전용 인터넷회선요금 23만 6천 원 등 일반운영비로 272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여권담당자 해외연수 430만 원 등 여권발급 운영으로 70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가족관계등록사무 지원 가족관계등록업무용 일반수용비 884만 7천 원, 가족관계등록업무추진 여비 249만 3천 원 등 가족관계등록사무 지원으로 1,134만 원을 계상하여 주민행정편의도모로 2014년보다 1,754만 4천 원이 증가한 1억 7,896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토지정보 관리 창구민원 제증명 발급 창구민원 발급신청서 유인 120만 원, 지적정보 업무추진 여비 684만 원, 354페이지입니다, 국가소송 관외출장 여비 250만 원 등 창구민원 제증명 발급으로 1,054만 원을 계상하였고, 지적전산 운영 공공운영비 4,745만 원, 지적공부 관리 사무관리비 175만 원, 지적업무추진 여비 1,296만 원 등 지적공부 관리로 1,47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적재조사사업 지적재조사측량비 900만 원, 지적재조사 지원사업 사무관리비 500만 원, 지적관리사업 지적관리사업 업무보조 인부임 325만 1천 원, 355페이지입니다, 도로명주소 관리 도로명주소 사업 사무관리비 1,600만 원, 공공운영비 900만 8천 원 등 일반운영비로 2,500만 8천 원을 계상하였고, 도로명주소 업무추진 여비 684만 원, 도로명 안내시설 설치 유지보수비 6천만 원 등 도로명주소 사업으로 9,184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사업 도로명주소 홍보 350만 원, 도로명주소 안내시설설치사업 도 관리 광역도로 도로명판 설치 유지보수 1,200만 원, 356페이지입니다, 도로명주소 정보화 사업 공기관 등에 대한 대행사업비 924만 6천 원, 도로명 안내시설물 관리 안행부 광역도로 도로명판 설치 및 유지보수 300만 원, 도로명주소 기본도 유지보수사업 도로명주소 기본도 유지관리 357만 3천 원, 토지관리 개발부담금 산정 사무관리비 5,245만 원, 공시지가산정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 1,332만 8천 원,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6,914만 원, 357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 개별공시지가 결정통지문발송 우편요금 4,200만 원 등 일반운영비로 1억 1,114만 원을 계상하였고, 토지관리팀 업무추진 여비 1,080만 원 등 공시지가 산정으로 1억 3,526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개업소관리 부동산중개업 홍보물 제작 100만 원, 부동산중개업소 위반관련 포상금 100만 원 등 토지정보 관리로 2014년보다 3억 56만 9천 원이 감액된 4억 28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종합민원과 기본경비 사무관리비 2,863만 원, 358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 331만 원, 종합민원과 업무추진 여비 240만 원, 부서운영 업무추진비 420만 원, 자산 및 물품취득비 490만 원, 종합민원과 행정운영경비로 2014년보다 338만 원이 증액된 4,34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종합민원과 2015년 본예산 세출예산안을 보고드렸습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성수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정 위원님!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제가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351쪽 안전여행길잡이 책자 제작이 500만 원이 잡혀 있는데 이게 신규사업으로 하는 겁니까?
다음은 행정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행정과장님께서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를 먼저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행정과
다음 54쪽입니다. 2015 자체 신규사업으로 첫 번째, 주민자치정책연구 국외중심 사업입니다. 20명의 주민자치위원을 대상으로 전문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일본 등 선진국을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실시하여 선진 주민자치 기법을 적용하여 주민자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비는 1인당 108만 원을 계상하였는바 본인이 50%를 부담하는 것으로 사업비는 2,160만 원입니다.
다음은 55쪽입니다. 두 번째, 지방정책연구 국외사례중심입니다. 이것도 주민자치와 마찬가지로 20명의 읍면 이장을 선별하여 2천만 원의 사업비를 가지고 해외연수를 하는 내용입니다. 자담은 50%입니다.
다음은 56쪽 이장화합 체육대회입니다. 이장화합 체육대회를 실시하여 행정업무를 지원하는 이장님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사기진작에 기여코자 합니다. 329명 읍면 이장 전원을 내년도에 1,4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서 체육대회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1인당 4만 2천 원 정도가 됩니다.
다음은 57쪽 주민자치센터 작품발표회입니다. 주민자치센터 작품발표회를 실시하여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내년 품바축제 때 읍면당 1개 팀씩 9개 팀이 출전을 하는데 소요비용은 800만 원 정도가 되겠습니다. 읍면당 88만 8천 원 정도입니다.
다음 58쪽 직원 역량평가 도입사업입니다. 이것은 기존 공무원 근무성적평정제도에 한계가 있어서 인사조직 등 행정업무에 적용 가능한 평가제도가 부재합니다. 성과와 능력 중심의 일하는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서 설치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4,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세부사업내용은 직무역량평가 시스템 도입 전산개발비가 1,500만 원, OS DB 구축 구매가 1,500만 원, 자치단체 간 부담금이 1천만 원, 서버구축이 500만 원입니다.
다음 59쪽입니다. 본청 행정전화시스템 개선입니다. 본청 전자교환시스템이 10년이 넘어서 노후했기 때문에 군ㆍ읍면ㆍ사업소 간 운영 중인 인터넷전화시스템을 본청까지 확대 구축하여 효율적이고 편리한 대민전화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이것은 총 사업비가 3억 7천만 원이 소요됩니다. 본청의 인터넷교환기를 교체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61쪽 내부 업무서버용 침입차단시스템 고체입니다. 최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해킹사고 및 사이버 침해로부터 내부 행정업무서버를 보호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내부 업무 서버용 침입차단시스템 즉, 방화벽 장치 교체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3,600만 원이 소요됩니다.
다음 62쪽 군 본청 구내통신케이블을 증설할 예정입니다. 모든 행정업무를 전산 처리함에 있어 늘어나는 사무기기로 기 시설된 구내통신 선로의 용량부족 및 본청 인터넷전화시스템 전환 예정에 따른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구내통신선로를 증설하여 안정적인 통신업무에 기여코자 합니다. 사업량은 구내통신선로 1식과 네트워크스위치 6개, 네트워크랙 3식입니다. 소요비용은 군비 8천만 원입니다.
다음은 64쪽 통합관제센터 영상반출시스템 구축사업입니다. 영상정보 오ㆍ남용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의 안전조치의무 강화와 영상정보가 분실, 도난, 유출, 변조, 훼손되지 않도록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것은 군비 8천만 원이 소요됩니다.
다음은 65쪽 한국자유총연맹 음성군지부 조직 운영비입니다. 단체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 등 제반 경비를 통해 자유총연맹의 원활한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으로 조직 법정운영비를 보조하는 사항으로 분회, 여성회, 청년회 등 21개 조직이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3,296만 3천 원입니다.
다음은 66쪽 교육기관보조 계속사업입니다. 교육발전을 위한 다양한 지원계획을 수립하여 명문학교를 육성하고 쾌적한 면학분위기 조성으로 꿈과 끼를 키우는 지역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두고 있습니다. 총사업비는 40억 8,600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은 음성장학회 정기 출연금이 10억 5천만 원, 이것은 농협 5천만 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충북인재양성재단 출연금 2억 5,200만 원, 명문학교 육성기금 11억 8,400만 원입니다.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금이 16억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67쪽 공공 무선인터넷 확산기반 조성 사업입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무선 정보통신기기의 확산과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 증가에 따라 서민과 저소득층이 정보통신기기 이용 시 통신비 부담 해소를 위한 무료 공공 무선인터넷 구축사업입니다. 내용은 서민이 주로 이용하는 전통시장, 관공서, 민원실, 터미널, 노인ㆍ장애인복지시설 등 59개소에 대해서 하는 사업으로서, 사업비는 저희 군이 2,437만 5천 원인데 정부에서 25%, 음성군에서 25%, 통신사가 50%를 부담하는 사업입니다. 금년도에 25개소를 하게 돼 있는데 무극시장, 삼성시장 등 2개, 보건소ㆍ보건지소ㆍ보건진료소 해서 14개소, 각 읍면사무소 9개입니다. 이게 쉽게 얘기해서 와이파이를 설치해서 인터넷요금을 싸게 하는 사업입니다.
보조사업 계속사업으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사업입니다. 저희 관내에는 북한이탈주민이 음성, 금왕 등에 130명이 있습니다. 이들의 정착을 도와주기 위해서 매년 도비 40%, 군비 60% 해서 1천만 원 가지고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금년도에는 김장담그기 사업을 한 바 있습니다.
69쪽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입니다. 저희 군이 평생학습도시로 지정이 되고 100세 시대를 맞이해서 미래 음성시민을 위한 평생학습 문화를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사업비는 2억 7,480만 원입니다. 국비가 1,800만 원이고 군비가 2억 5,600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은 지역행복생활권 협력사업 2천만 원 등 다음페이지까지 12개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71쪽 농촌지역 광대역가입자망 구축입니다. 민간의 자율적인 투자를 기대하기 어려운 50가구 미만의 농촌 마을을 대상으로 보편적인 방송통신서비스 IPTV나 영상전화 등 제공이 가능한 광대역가입자망 구축이 필요한 사업입니다. 50가구 미만 동네가 저희 군에는 93개 행정리가 있습니다. 사업기간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계속되는 사업으로 도비가 30%, 군비가 70%입니다. 저희 군에는 금년도에 49개 마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소요비용은 8,659만 7천 원입니다.
다음은 73쪽 어린이안전 영상정보처리기기 구축사업입니다. 어린이보호구역, 도시공원 놀이터 등 우범지역에 대한 영상정보처리기기 확대 설치로 어린이와 군민의 생활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 하는 사업입니다. 금년도에는 14개소에 28대를 선정하였는데 사업비는 3억 800만만 원입니다. 국비 50%, 군비 50%입니다.
이상 참고자료 설명을 마치고 계속해서 본예산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85쪽입니다. 행정과 예산은 총 626억 8,678만 7천 원으로 전년도보다 4%인 21억 5,895만 7천 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지방행정 역량 강화 열린행정 추진 국내외 교류사업은 국제교류 통역비 300만 원, 국제화 지원기능분담금 500만 원, 행사운영비 800만 원, 국제교류와 자매도시 외빈초청여비 4천만 원 등 5,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중간에 군정시책추진 경비는 1억 196만 원으로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직원 행정업무수첩이나 직원 사진수첩 제작 등 4,510만 원을 계상하였고, 하단 공공운영비는 전국 충북시장ㆍ군수협의회 회비 등 4건에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86쪽입니다. 상단 행사운영비는 군정 및 도정설명회 경비 940만 원을 계상하였고, 국내여비는 1,696만 원, 시책추진비는 1,200만 원, 경찰서 치안정책설명회 비용 9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사업무 추진으로 행정도우미 출산 및 육아휴직 대체 보수 등 4,664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는 도ㆍ시ㆍ군 간 인사교류 활성화를 위한 주택보조비 2,160만 원 등 3,445만 원을 계상하였고, 하단부 직원역량평가 시스템 도입 즉, 공무원 다면평가방식 개선 시스템 도입비 3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다음페이지 직원역량평가 시스템 도입 분담금은 도봉구청에서 개발해서 거기에 1천만 원을 계상한 부분입니다. 다음 2015년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 운영 대행비가 418만 원, 인사 관련 서버 구축비 등 자산취득비 606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중간 부분 대학생 아르바이트 40명 한 달 인건비 5,535만 4천 원,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비용 도비 400만 원, 군비 600만 원, 총 1천만 원을 새마을단체를 통해서 지원할 예정입니다. 퇴직공무원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로 30명을 예상하여 상패 등 일반운영비 1,200만 원, 퇴직공무원 매달 20명분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288쪽입니다. 상단 군정유공자 시상자 상패비용 900만 원을 계상하였고, 공공기록물 관리에는 서고정리 인부임 491만 원, 기록물시스템 유지관리 등 5,331만 원, 비밀문서 관리 이중금고 구입 등 자산취득비로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간에 사회단체 지원 한국자유총연맹 조직운영비 4,030만 원, 적십자에서 주관하는 사할린동포 한마음대회 비용 2천만 원을 지원하고, 다음 289쪽입니다. 민주평통은 역사탐방 등반대회 운영비 등 3,540만 원을 반영하였고, 민간협력 추진에서 주민자치센터 관리에 프로그램 강사수당 3억 등 3억 6,462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주민자치행사 실비보상금 등 일반보상금 323만 4천 원과, 다음 290쪽입니다, 주민자치워크숍 1,600만 원, 작품발표회 800만 원, 국외연수비 50%인 2,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ㆍ반장 관리로는 자녀장학금 5천만 원, 선진지 견학 1,645만 원, 이장 체육대회 1,400만 원, 국외연수비 50% 2천만 원, 단체 상해보험 가입2,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회단체 지원비로는 유공자 표창패가 250만 원, 도민교육 여비가 450만 원, 광복회 격려품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91쪽입니다. 재향군인회 지원으로 사무관리비 100만 원, 6.25행사 지원비 1,500만 원, 사무원 인건비 보조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새마을단체 지원으로는 사무관리비 상패 제작에 180만 원, 각종 새마을회 교육 실비보상금이 2,155만 7천 원입니다. 새마을사업 외 5건에 자체사업과 읍면 새마을조직 보조에 3,560만 원, 새마을운영비 보조 연간 3,600만 원, 지도자 상해보험 700명 210만 원을 지원하겠으며, 하단부 바르게살기운동 지원은 총 5,070만 원으로 표창패 제작에 100만 원, 행사실시보상금 220만 원으로, 다음 쪽에 교육여비입니다.
바르게살기 민간경상보조는 6건 사업에 2,750만 원, 연간 법정운영비 보조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간 자율방범대 운영 지원은 표창패 제작에 150만 원, 직무경진대회비용이 1천만 원, 방범차량 구입비 2대에 90% 지원에 3,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족통일협의회는 300만 원으로 안보교육 및 행사를 하고 재향경우회는 250만 원으로 예년과 동일하게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93쪽입니다. 새마을지도자 자녀 장학금은 도비 50%, 군비 50% 해서 총 3,2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방공무원 육성 분야로 직원 후생복지의 증진을 위해서 직원 하계휴양시설 임차료 12개소에 1억 2천만 원, 맞춤형 복지제도 경비 9억 원, 여비는 서무팀 관련 2,188만 원, 국외연수 풀(POOL)여비 2,600만 원, 국제화여비 풀(POOL)여비 1억 5천만 원, 국외 배낭연수 비용 4,800만 원을 계상하였고, 무기계약직 선진지 견학비용 24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94쪽입니다. 전 직원 건강검진비용 1인당 25만 원씩 1억 8,750만 원, 연금지급금액 공무원 재해보상 급여 2천만 원, 가족사망 조위금 30명분 9천만 원, 공무원 자녀 학자금 부담금 1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공무원 시상에는 포상 관련 사무관리비 705만 원, 연말 우수공무원 시상 100만 원, 우수공무원 선진지 견학 60명 3천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공무원 체육행사는 음성군 공직자 한마음대회가 1,900만 원, 도시군 체육대회 참가비 2,734만 원, 청경 충북대회참가비 536만 4천 원, 도시군공무원 체육대회 참가비 6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청사관리 당직실 운영 수수료 수용비 16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295쪽입니다. 여직원 휴게실 운영비 500만 원, 행정잡지 4가지 구독료 420만 원, 태극기 구입비용 324만 원 계상하였고, 군 청사 무인경비시스템 연 1,6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간 부분 교육훈련 직원능력개발 비용입니다. 교육업무추진 제수용비 200만 원, 교육기관 위탁비 1억 원, 명사초청 교육강사비 1천만 원, 공무원 풀(POOL)여비 1억 8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평생학습 운영을 위한 홍보물 제작비 1천만 원, 찾아가는 홈스쿨 70개 팀 지원에 5,600만 원, 매니저 양성과정 1천만 원, 평생학습도시협의회 부담금 250만 원, 평생학습도시 홈페이지 유지보수에 6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96쪽 첫째 줄 평생학습발표회 1천만 원, 반기문 평생아카데미 운영 2천만 원입니다. 민간경상사업으로 평생학습동아리 지원 2천만 원, 토요학교 사업비 3천만 원, 뉴라이프(New-Life) 아카데미 9천만 원입니다. 행복학습센터 운영비 1천만 원, 전국 평생학습박람회 출전이 1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초ㆍ중등 교육복지 확충입니다. 교육기관 보조 출연금입니다. 음성장학회 200억 조성을 위한 정기 출연금 10억 원과 농협 기정 기탁금 5천만 원을 출연금으로 계상하였고, 충북인재양성재단 출연금 2억 5,200만 원, 명문학교 5개년계획 육성기금 11억 8,400만 원, 교육기관 풀(POOL) 보조금 16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학교급식 지원은 총 30억 5,300만 원이 소요됩니다.
다음 297쪽입니다. 친환경 쌀ㆍ부식 지원에 차액비 군비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금년에 신설된 로컬학교급식 추진 분야는 학교급식 홍보비 150만 원, 관계자 워크숍비용 500만 원, 추진여비 45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원봉사센터 관리입니다. 유공자시상 표창패 110만 원, 교육등록비 84만 원, 경상보조로 음성군 자원봉사자대회 1천만 원, 센터 연간 운영비 1억 2,927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98쪽입니다. 시군 자원봉사센터 봉사활동 지원비는 6,500만 원으로 도비가 1,950만 원으로 43%가 지원됩니다.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센터 2명 인건비가 4,122만 원으로 국비가 50% 보조됩니다. 자원봉사자 보험료 국비 50% 포함 471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노조 관련 업무추진 제수용비가 150만 원, 공인노무사 자문수당 월 30만 원씩 3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정보화 및 정보통신 분야는 총 30억 241만 8천 원으로 국비, 지역발전특별회계, 도비가 보조되는 분야로 하단부에 먼저 전산운영 및 서버관리로 299쪽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99쪽 사무관리비 복사용지 구입, 복사기 소모품비로 218만 원, 공공운영비는 1억 3,244만 6천 원으로 주전산기 유지보수비로 2,520만 원을 비롯해서 맨 밑에까지 각종 전산시스템 유지보수 비용이 되겠습니다.
다음 300쪽입니다. 전산개발 분야로 가상화서버 엔진 업그레이드 비용이 2,780만 원, 웹 취약점 분석시스템 구매비용 4천만 원 계상하였고,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군수, 부군수 관사 PC 교체 520만 원, DNS서버 이중화 구축에 1,420만 원, 혁신도시출장소로 백업시스템 이전 구축비 7,6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시군구 행정정보시스템 관리를 위한 5종의 시스템 유지보수비로 7,560만 원, 공통기반시스템 유지보수 위ㆍ수탁 협약금 6,830만 원을 계상하고, 혁신도시출장소에 무인발급기 구입에 2,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홈페이지 유지보수 공공운영비 35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01쪽 업무용 소프트웨어 구입비로 사무용 패키지비에 6,900만 원, 온나라 기반 소프트웨어 구매 3,200만 원 계상하였고, 전산개발비로 바이러스백신서버 갱신 등 4건에 7,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정보화교육으로 사무관리비 2,800만 원, 공무원 정보화능력경진대회 시상금 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하단부 시군구 행정정보시스템 노후장비 교체로 국비 포함 3,02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사무관리비로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금껏 전산 분야 예산을 설명드렸고, 다음은 통신운영 분야입니다. 정보통신실 소모품비 275만 원, 행정전화 회선료, 전화요금, 인터넷요금 등 공공운영비에 뒤페이지 중간까지 1억 4,925만 원에 대한 사항을 나열하였습니다. 통신팀 업무추진 여비는 통신검사원 민원처리가 출장이 잦은 관계로 1,296만 원을 계상하였고, 문자전송시스템용 상용소프트웨어 구입비가 1,200만 원, 자산취득비로는 군 본청 인터넷전화교환기 교체비용 UPS 구입비 포함해서 4억 원, 문자전송시스템 서버 교체가 1,300만 원, 영상회의시스템 기능 개선이 1,300만 원이며, 하단부 정보보호시스템 유지보수비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04쪽입니다. 내부 업무서버용 침입차단시스템 교체비용으로 3,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구내 정보통신망 고도화사업으로 군청, 사업소ㆍ읍면 간 전용회선료와 유지보수비로 2억 6천만 원을, 또 중간에 구내 통신케이블 증설에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정보통신 사용 전 검사는 군내 신규 모든 150㎡이상 건축물에 통신 분야 민원서류 신청 시 통신직 직원이 출장하여 검사해 주는 업무로 측정장비 비용으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농촌지역 광대역통합망 구축사업은 오지마을에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연차사업으로 8,659만 7천 원이 소요되는 바, 다음 쪽 상단 도비 2,600만 원이 보조되는 사업입니다.
다음 무선인터넷 이용격차 해소를 위한 기반조성사업비 2,43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영상정보 운영 관리로 통합관제센터 운영경비로 사무관리비에 360만 원, 공공운영비에 전용회선료, 전기사용료, 유지보수비용 등에 3억 2,946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06쪽입니다. 통합관제센터 위탁 용역 인건비로 2억 4천만 원을 반영하였고, 영상정보반출관리시스템 구축에 8천만 원, IP 보안관리시스템 구축에 3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중간 어린이안전 영상정보처리기기 구축에 3억 800만 원을 계상하였는데 지특 예산이 50%입니다. 초등학교 CCTV 모니터링 위탁 용역 인건비 전액 도비로 1억 4,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규제개혁은 수용비 300만 원, 여비 456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07쪽입니다. 다음은 음성군 전체 공무원 인력 운영비입니다. 공무원연금법 적용 인건비는 즉 정규직 직원의 인건비입니다. 작년보다 29억 3,200만 원이 늘어난 447억 6,991만 4천 원입니다. 인건비 보수 중 봉급은 670명에 223억 2,500만 원, 정근수당은 본봉의 50% 2번 18억 6천만 원, 정근수당 가산금은 6억 4천만 원, 명예퇴직수당은 3억 5천만 원, 관리수당 4급에 해당됩니다, 1,471만 1천 원, 시간외 근무수당은 18억 5,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08쪽입니다. 5년 이상 미승진자에 대해 지급하는 대우공무원 수당은 2억 9,800만 원, 가족수당은 4억 5,700만 원, 자녀학비 보조수당은 1억 5,600만 원, 위험근무수당은 4,920만 원, 특수업무수당은 1억 3,700만 원입니다. 하단부 특무직무수당은 민원업무수당, 읍면동 근무수당 등 2억 7,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09쪽입니다. 기술정보수당은 1억 7,988만 원이 소요되는데 기술정보수당이 1억 1,484만 원, 자격증 가산금이 5,880만 원, 자동차운전수당이 384만 원, 전산업무수당이 240만 원이 됩니다. 모범공무원 수당은 720만 원, 육아휴직수당은 1억 9,500만 원, 정액급식비는 13만 원씩 11억 2,100만 원, 명절휴가비는 연 2회 60%씩 23억 3,400만 원, 연가보상비는 12일치 계산 7억 8,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타직 보수에 청원경찰은 32명인데 각종 수당을 포함해서 13억 900만 원이 소요되며, 다음 중간에 임기제공무원은 13명 분으로 4억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11쪽입니다. 중간 부분 직무수행 경비입니다. 직책급 업무수행경비는 7,080만 원, 관리자와 부읍면장까지 지급이 되는 내용입니다. 직급보조비는 11억 9,200만 원으로 전직원 차등 지급됩니다. 특정업무경비는 예산, 세무, 여론, 감사부서 근무자에게만 업무의 성격상 어려움이 커 별도 지급되며, 대민활동비는 읍면 제외하고 관리자를 제외한 군 본청 직원에게 지급되는 경비로 총 3억 4,34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12쪽입니다. 성과상여금은 연 1회 실적을 평가하여 차등지급하는 경비로 20억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연금부담금은 보수액의 7%로서 29억 4,800만 원, 보전금은 4.868%로 15억 원, 퇴직수당부담금은 2.3%로 5억 원, 재해부담금은 0.119%로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민연금법 적용받는 무기계약직 인건비입니다. 도로보수원, 농기계수리원 16명에 대한 봉급과 각종 수당으로 6억 9,422만 8천 원, 행정업무보조 인건비 1급 보조에 대해서는 10억 5,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 313쪽 중간에 행정업무보조 2급은 31명입니다. 10억 8,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국가업무를 대행해주는 인건비로 전액 국비인데 가족관계 등록사무 지원비는 4,036만 1천 원, 여권발급업무 인건비는 858만 원이 국가에서 보조되며, 다음 페이지 맞춤형 지역복지전달체계 개선 인건비는 사회복지직 신규임용자 10명에 대한 국도비 지원으로 1억 8,750만 원을, 중간 부분 군민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인건비는 금년 7월에 임용된 사회복지직 4명에 대한 인건비로 국ㆍ도ㆍ군비 포함 1억 2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행정과 기본경비입니다. 당직근무 수당 일ㆍ숙직비 8,319만 원을 포함하여 1억 2,596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15쪽입니다. 우편요금은 연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중간에 업무추진비는 군수는 5,280만 원, 부군수는 3,630만 원을 계상하였고, 정원가산 업무추진비는 2,261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부서운영 업무추진비는 450만 원, 다기능사무기기 교체 구입비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행정과 소관 2015년도 당초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우성수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윤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윤희 위원 과장님 긴 시간 너무 고생을 많이 하셨는데요, 북한 탈주민 정착에 대해서 궁금한 게 있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자료는 68페이지고요, 본 자료는 287페이지인데 북한 탈주민들하고 새마을단체하고 교류가 잘 안 이루어지는 것 같아요. 경찰서하고 연계가 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경찰서하고 단체하고 행정과하고 연계가 돼서 행사를 하면 같이 하는 걸로 아는데 연결이 잘 안 되는 걸로 제가 알고 있어요. 탈주민 회장님은 이름이 김○○씨인가 그렇게 알고 있는데 그분은 새마을단체로 온 것도 모르더라고요.
이대웅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윤창규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행정과장 반재일 저희는 작년에도 저명인사를 초청해서 중앙에 관련되신 분, 도지사셨던 유○○씨나 이○○ 방송통신위원, 장ㆍ차관이나 국회의원 하셨던 이런 분들을 수시로 초청해서 공무원의 소양을 높이고 있습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안 계시면 제가 몇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조천희 위원님께서 말씀하신 교육지원청에 음성군에서 40억 8,600만 원씩 지원을 해주는데 각급 학교의 지출항목을 지난번에 본 위원이 개인적으로 그것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지출항목을 보면 관내에서 할 수 있는 항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지출을 다 관외에서 하고 있습니다. 하다못해 작은 학용품이라든가 소모품까지도 관외에서 하고 있는데 이런 것을 공문화해서 의회에서도 한번 그것을 말씀을 드리려고 계획하고 있는데 다른 방법이 없으니까 협조를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전 회의를 마치고자 합니다. 오후 회의는 1시 30분에 속개하기로 하고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42분 회의중지)
(13시29분 계속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계속해서 오후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홍보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문화홍보과장님께서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를 먼저 설명해 주시고 예산을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문화홍보과
첫 번째, 영상자료 DB 및 인터넷방송 구축사업은 정부3.0의 패러다임 추구로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의 신속한 행정정보 전달과 군정 및 행정정보의 공개를 통한 군민참여의 기회를 주는 사업으로 사업개요는 동영상 기록 DB 구축, IPTV 중계 및 인터넷방송 구축으로서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입니다. 총 사업비는 4억 5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영상DB 원본 소재 관리 및 HD 인터넷방송 서비스 인프라 구축이며, 사업소ㆍ읍면 IPTV 송출 방송서비스 인프라 구축입니다. 다음은 음성의 소리 기록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음성군 지역에 구전되어 내려오고 있는 음성민요의 경우 원형 보존이 어려워 소멸 위기에 처해 있어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내용은 1개 읍면을 선정해서 문화 원형 콘텐츠 및 음반 악보를 개발하는 것으로,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입니다. 총 사업비는 2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으로서 보조사업자는 충북민요연구회, 보조사업 수행은 문헌자료조사, 현지조사, 원고정리, 보고서 인쇄 및 CD 납품입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음성민속예술경연대회입니다. 이 사업은 음성군에 전해 내려오는 민속예술을 발굴ㆍ전승ㆍ보존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9월에 설성문화제 기간 중에 실시하며, 총 사업비는 500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대상은 관내 민속예술팀 4개 팀을 참가시켜서 민속놀이와 농악, 민속무용, 민속극 등을 실시하며, 보조사업자는 음성예총입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음성향악당 전수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음성향악당의 풍물놀이 전수사업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잊혀져가는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사업으로서 사업대상은 삼성면 향악당에 음성풍물어우리패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500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보조사업자는 ㈔음성풍물어우리패로서 사업내용은 악기 수리비, 민복 및 소품 구입비, 연습 식대, 기타 수용비 등입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전통놀이 발굴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삼성면 용산리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비렁뱅이 뜰 기우제를 발굴 재연하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사업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1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보조사업자는 음성문화원이며, 사업내용은 조사연구비 2명에 80만 원, 훈련비 40명에 320만 원, 공연비 40명에 200만 원, 피복비 40명에 200만 원, 식대비 40명에 192만 원, 행사수용품 8만 원 등입니다.
다음은 음성향토사료집 발간입니다. 이 사업은 음성의 지정ㆍ비지정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도록을 편찬하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사업으로서, 사업대상은 음성 지정문화재 55종, 비지정문화재 20종,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3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보조사업자는 음성향토사연구회이며 사업내용은 도록 인쇄비, 편집비, 원고 집필비, 인건비, 사진촬영비 등입니다.
다음 음성군체육회 사무국 집기 구입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노후된 사무국 집기를 교체하여 효율적인 업무처리로 체육진흥을 통한 군민의 체력 향상과 건강증진을 도모하여 건전한 기품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2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은 사무국 집기 구입 책상 17개, 의자 17개, 컴퓨터 8대, 냉장고 1대 등입니다.
다음 음성군수기 장애인종목별체육대회입니다. 이 사업은 음성군수기 장애인체육대회를 통한 군민의 건강과 체력증진, 장애인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선진 체육문화 창달, 장애인 생활체육을 통한 활력 있는 복지 음성 이미지 제고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1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군수기 장애인볼링대회 500만 원, 군수기 장애인게이트볼대회 500만 원입니다.
다음 음성군장애인체육대회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2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일시는 2015년 5월 중에 개최하며 대상은 음성군 관내 장애인입니다. 종목은 볼링, 탁구 등 10여 개 종목이 해당됩니다.
다음 장애인 체육교실 사업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500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장애인 체육교실 강사료로 장애인볼링교실 200만 원, 장애인게이트볼교실에 100만 원, 장애인탁구교실 100만 원, 장애인배드민턴교실 100만 원입니다.
다음 음성군체육회 운영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까지이며, 총 사업비는 2억 5천만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사무국 인건비, 사무국 회의 및 여비, 사무국 운영비 등입니다.
다음 보조사업에서 재생예술체험촌 조성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원남테마공원 주변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아웃도어 힐링 캠핑 글램핑 하우스, 텐트촌과 연계한 체류형 체험촌을 조성하여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인구 유입과 캠핑인구 증가 등 가족과 함께하는 문화체험공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기간은 2017년까지이며, 총사업비는 58억 3,600만 원입니다. 올해는 군비 7천만 원을 투자하고, 2015년에는 국비 10억, 도비 2억, 군비 9억 5,070만 원, 2017년까지 향후 계획으로는 국비 18억 1,300만 원, 도비 3억 6,260만 원, 군비 14억 3,929만 원, 총 36억 1,489만 원이 투자됩니다.
이상으로 참고자료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2015년 본예산 세출예산 사업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19페이지입니다. 우리 문화홍보과는 2014년보다 26억 195만 6천 원이 증액된 90억 6,826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군정홍보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군정홍보 광고료에 신문광고료, 대도시 군정홍보, 인터넷 배너광고 홍보 포함해서 4억 6,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정기간행물 구입으로 300만 원, 공중파 스팟방송 홍보에 1,650만 원, 군정광고 시안 도안료에 200만 원, 행정자료용 신문구입으로 중앙지ㆍ지방지 해서 1,080만 원, 자매부대 위문지에 93만 6천 원을 각각 계상했습니다. 공공운영비로 인터넷 통신사 서비스 이용료 3,600만 원, 인터넷요금 프레스룸에 62만 4천 원, 설성방송 TV 수신료에 224만 4천 원, 웹하드 통신요금 198만 원, 신문 전자 스크랩 이용료 1,597만 2천 원, 인터넷요금 39만 6천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국내여비로 군정홍보 업무추진 여비 1,5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업무추진비로 시책추진 업무추진비로 군정홍보 추진 활동비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연구개발비 전산개발비로 인터넷방송 구축에 4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인터넷방송 운영장비 구입에 비디오편집기 디지털캠코더 및 비디오카메라에 각각 2천만 원씩 계상하였습니다. 홍보물 제작입니다. 사무관리비로 음성소식지 제작에 제작료하고 발송봉투 해서 1억 980만 원입니다. 공공운영비로 소식지 우편발송요금 5,7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입니다. 기타보상금으로 소식지에 퀴즈당첨자 상품권 지급에 3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포상금으로 군정홍보 우수부서 표창에 200만 원, 군정홍보 우수직원 표창에 7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군정기록에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군정홍보용 제수용비로 건전지, 사진 게시용 액자 등 53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군정홍보 및 기록유지 사진 인화료로 810만 원, 군정홍보 DVD 영상물 제작에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21페이지 케이블방송 편집비 2,400만 원, 군정홍보영상 송출에 2,640만 원, 방송장비 소모품 구입에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운영비로 홍보장비 유지비로 방송장비하고 회의실 및 청사 음향장비에 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사진DB 시스템 유지보수비로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에 기타보상금 군정홍보 보상금입니다. 리포터비, 구성작가비, 사진영상 모델료 등으로 3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사진편집기 1대에 475만 원, 방송실 냉난방기에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광판 홍보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군정홍보 게시대 현수막 제작에 840만 원, 공공운영비로 공공요금 및 제세, 전기요금과 통신요금에 91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입니다. 시설비에 전광판 보수에 1,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문화예술진흥 문화예술단체 지원 활성화, 다음 페이지입니다.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문화예술진흥 민간인 유공패 제작에 200만 원, 국어사랑 교육 및 캠페인에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내여비로 문화예술 업무추진 여비 93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업무추진비 시책추진 업무추진비로 문화예술 활성화 추진에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예술작품 구입비 4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유통업 관리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유통관련업 안내문 및 지침서 제작에 100만 원, 유통관련업자 교육교재 제작에 50만 원, 압수게임기 운송장비 임차료에 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문화예술단체 지원 출연금으로 문화예술진흥기금 출연금 4,7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이전 민간단체 법정운영비 보조로 음성문화원 법정운영비 지원에 5,180만 원, 음성예총 운영비 지원에 5,9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문화예술행사 지원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 행복실은 순회공연단 운영에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제야의 타종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각종 문화예술행사에 2,765만 원, 읍면 열린음악회에 9천만 원, 2015년 가을음악회에 1,900만 원, 2015년 찾아가는 음악회에 500만 원, 사진협회 전시회에 300만 원, 봉학골 가요제 1,200만 원, 철박물관 예술지원 사업에 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한국문화학교 지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한국문화학교 지원에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음성문화원 사업지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음성문화원 사업지원 3,700만 원, 문화교류사업에 1,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인건비로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로 문화복지 전문인력 인부임 1,746만 5천 원을 급여로 계상하였고, 여비로 1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사회보험 기관부담금으로 146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경상사업보조로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에 2억 3,14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반기문전국백일장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제7회 반기문전국백일장에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군 문화의 달 행사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시군 문화의 달 행사에 82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통문화 계승 및 지역문화제 활성화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전통놀이 재현에 550만 원, 전통놀이 발굴에 1천만 원, 정월대보름맞이 세시풍속 놀이에 1,100만 원, 제21회 충북민속예술축제 참가에 1천만 원, 춘추석전대제 행사에 500만 원, 전통예절 교육에 800만 원, 음성의 소리 기록화 사업에 2천만 원, 음성민속놀이축제에 500만 원, 음성향악당 지원사업에 500만 원, 음성향토사료집 발간에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역문화축제 지원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축제 유공자 표창패 제작에 150만 원, 축제 홍보물 제작에 4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 행사실비보상금으로, 다음 페이지입니다.
전국문화관광 우수축제 견학에 100만 원, 자원봉사자 급식비로 1,4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포상금으로 축제 유공공무원 시상 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향교 기로연 재연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향로 기로연 재연에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도덕성회복 교육지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도덕성회복 교육 지원에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품바축제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로 음성명품축제 육성 세미나 개최에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이전 민간단체 법정운영비 보조로 음성품바축제 상설조직 운영비 2,200만 원, 민간행사사업보조 제16회 음성품바축제 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군 대표문화예술행사 민간이전 민간행사사업보조로 제34회 설성문화제 개최에 3억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유림대학 운영 지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유림대학 운영 지원에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관광기반 확충 및 관리에, 다음 페이지입니다. 관광시책 추진 및 인프라 확충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중부권관광협의회 공동사업에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치단체 등 이전에 자치단체 간 부담금 중부권관광협의회 공동사업비 부담금 2,4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관광인프라 구축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관광안내 홍보책자 제작에 3천만 원, 반기문 UN사무총장 홍보물 제작에 1,600만 원을, 감우재전승기념관 홍보물 제작에 600만 원, 비채길 홍보물 제작에 1천만 원, 반기문테마관광지 개발 기본계획책자 제본에 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운영비로 품바캐릭터 상표 연차등록비로 24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행사운영비로 관광홍보에 따른 농ㆍ특산품 구입에 쌀, 고춧가루 구입에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음성군 홍보부스 운영에 2,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내여비 관광축제 업무추진 여비로 93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업무추진비 시책추진 업무추진비로 축제업무추진 활동비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TV여행 아름다운 충북 방영, 다음 페이지입니다.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TV여행 아름다운 충북 방영에 1,6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재생예술 체험촌 조성에 사무관리비로 심사위원 수당에 100만 원, 수수료 7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으로 재생예술 체험촌 디자인 공모 시상금으로 1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 시설비로 토지매입비 1억 5천만 원, 재생예술 체험촌 조성사업 20억을 계상하였습니다. 관광객을 위한 포토존 설치 시설비로 포토존 설치에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체육 인프라 확충에 전문체육 육성에, 다음 페이지입니다. 실업팀 운영에 공공운영비로 공공요금 및 제세에 가스비, 인터넷 및 케이블 시청료, 전화요금 등으로 28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숙소 및 차량 유지관리비로 500만 원을, 실업팀 숙소 난방 유류대에 2,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 예술단원ㆍ운동부 등 보상금으로 실업팀 선수 스카웃비 6천만 원, 실업팀 퇴직금으로 4천만 원, 부상자 상해 치료비로 1,500만 원, 선수 등록비 900만 원, 기타 운영비 150만 원, 대회입상 포상금 4,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정구팀 운영에는 감독 급여에 4,543만 2천 원, 선수 급여에 2억 9,184만 원, 사회보험 기관부담금 3,372만 8천 원, 대회 출전경비에 3,600만 원, 피복비 및 용구비로 1,370만 3천 원, 전지훈련 합숙비로 1,440만 원, 급량비에 4,860만 원, 간식비로 42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육상팀 운영입니다. 감독 급여에 4,543만 2천 원, 선수 급여에 2억 9,400만 원, 사회보험 기관부담금에 3,394만 4천 원, 대회 출전경비에 3,200만 원, 피복비 및 용구비 1,226만 4천 원, 전지훈련 합숙비에 1,280만 원, 급량비 4,320만 원, 간식비 37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이클팀 운영입니다. 감독 급여에 4,543만 2천 원, 선수 급여에 2억 9,400만 원, 다음 페이지입니다. 사회보험 기관부담금 3,394만 4천 원, 대회 출전경비에 3,200만 원, 피복비 및 용구비에 789만 6천 원, 전지훈련 합숙비에 1,280만 원, 급량비에 4,320만 원, 간식비 374만 4천 원, 장비부품 및 소모품비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이전 민간위탁금으로 실업팀 숙소 무인경비시스템에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실업팀 운동용구 구입에 2,6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우수선수 육성에 일반보상금 예술단원ㆍ운동부 등 보상금으로 우수선수 훈련 지원에 6,450만 원을, 우수선수 육성 지원에 1억 1,6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생활체육 진흥입니다. 일반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일반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1억 5,292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어르신 전일제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민간이전, 다음 페이지입니다.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어르신 전일제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1억 195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생활체육교실 운영입니다.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생활체육교실 운영에 4,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군 생활체육프로그램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시군 생활체육프로그램 운영에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음성물놀이장 운영입니다. 인건비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로 음성물놀이장 일시사역 인부임 264만 8천 원, 음성물놀이장 응급구조요원 인부임 207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음성물놀이장 안내 현수막 및 홍보물에 50만 원, 음성물놀이장 소독약품 구입에 40만 원, 음성물놀이장 구급약품 등 소모품 구입에 30만 원, 음성물놀이장 몽골텐트 설치에 25만 원, 음성물놀이장 특근자 급식비로 52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운영비로 공공요금 및 제세로 체육시설 배상책임 보험료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사업으로, 다음 페이지입니다.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스포츠강좌 이용권 홍보 현수막 제작에 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보상금 사회보장적 수혜금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에 3,63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충청북도 생활체육지도자배치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시군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에 2,79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충북종단 대장정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2015년 충북종단 대장정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체육대회 운영 체육행사 및 체육회 운영입니다.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각종 체육행사 홍보 현수막으로 150만 원, 각종 체육행사 상패 제작에 100만 원, 전국대회 및 각종행사 특근자 급식비로 180만 원, 쓰레기봉투 구입비로 15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국내여비로 체육진흥 업무추진 여비 784만 원, 반기문마라톤대회 홍보추진 여비 150만 원, 전국체전 및 도내대회 업무추진 여비 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이전 민간경상보조 생활체육지도자 급식비로 1,872만 원을, 생활체육지도자 교육비로 23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단체 법정운영비 보조로 음성군체육회 운영에 2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국 집기류 및 사무기기 구입에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반기문마라톤대회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제9회 반기문마라톤대회에 2억 9천만 원, 반기문마라톤대회 홍보용 농ㆍ특산품 구입에 3,700만 원, 반기문마라톤대회 후원금으로 1,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사이클대회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2015년 음성청결고추 청주MBC 전국사이클대회에 5,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군민체육대회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제32회 군민체육대회에 1억 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읍면체육대회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읍면체육대회 9개 읍면에 1억 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종목별 생활체육대회입니다.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종목별 생활체육대회 개최에 7,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음성군 생활체육대회, 다음 페이지입니다.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음성군 생활체육대회 개최에 2,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도단위 체육대회에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도단위 체육대회 개최에 2,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체육대회 참가입니다. 민간이전 민간경상사업보조로 제54회 충북도민체육대회 참가에 1억 8천만 원을, 시군대항 역전마라톤대회 참가에 2천만 원을, 충북씨름왕선발대회 참가에 400만 원을, 제9회 한마음장애인체육대회 참가에 2천만 원, 장애인체육대회 개최 및 참가에 1,500만 원, 종목별 생활체육대회 참가에 3,100만 원, 충북생활체육대회 참가에 6천만 원, 장애인 군민체육대회에 2천만 원, 군수기 장애인종목별대회에 1천만 원, 장애인 체육교실사업에 500만 원, 도 어르신 체육대회 참가에 1,500만 원, 충청북도 여성체육대회 참가에 500만 원, 전국대회 참가에 1천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행정운영경비 기본경비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로 일반수용비 440만 원, 급량비 510만 원, 복사기 임대료 528만 원, 행정장비 소모품 구입에 5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로 행정장비 유지보수비로 151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내여비 문화홍보과 업무추진 여비로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업무추진비 부서 운영 업무추진비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입니다. 다기능사무기기 대체 구입으로 1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5년 세출예산 사업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김윤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대웅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가 없으시면 제가 간단하게 두 가지만 추가로 질의를 드리겠습니다. 332쪽 반기문마라톤대회에 3,100만 원이 증액됐는데, 증액에 따른 계획서를 지금 갖고 계십니까?
원활한 회의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하고자 합니다. 회의는 2시 40분에 속개하기로 하고 회의중지를 선포합니다.
(14시27분 회의중지)
(14시39분 계속개회)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경제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경제과장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부터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라. 경제과
108쪽입니다. 첫 번째,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공연행사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대규모점포 등과의 경쟁과 경기침체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특색 있는 행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전통시장 문화공연행사를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량은 음성, 무극, 대소, 삼성, 감곡 등 5개 전통시장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2월부터 12월까지이며, 총사업비는 1천만 원으로 재원은 군비입니다. 내용은 품바공연, 고객 노래자랑 등 다양한 고객을 위한 이벤트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향후 추진일정으로는 세부 공연 계획을 1월 중으로 수립해서 문화예술단체와 공연 위탁협약을 2월 중에 맺어 2월부터 12월까지 공연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두 번째, 109쪽입니다. 음성군 근로자종합복지관 보수사업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음성군 근로자종합복지관은 현재 각종 설비 및 장비의 노후화가 심각하게 진행되어 이에 대한 보수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음성군근로자종합복지관 보수사업으로 지붕방수 및 노후시설 보수가 되겠습니다. 사업량은 복지관 1개소로, 사업기간은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입니다. 재원별 사업비는 1억 원으로 전액 군비가 되겠습니다. 세부사업내용은 지붕방수 및 노후시설 보수공사가 되겠습니다.
다음 세 번째, 110쪽입니다. 취약계층 기초수급, 차상위자에 대한 전기시설 개선사업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소득수준이 낮은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취약계층 세대에 대해 전기시설 무료점검과 불량 노후 전기시설 교체를 실시하여 전기누전으로 인한 화재로부터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합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기초수급, 차상위자 취약계층에 대한 전기시설 개선사업이 되겠습니다. 사업량은 150세대로, 사업기간은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입니다. 총사업비는 1,500만 원으로 전액 군비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사업내용은 전기시설 점검과 불량 누전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커버나이프 스위치 교체, 노후된 불량 전선과 전기기구 수리 및 교체 등이 되겠습니다. 산출내역으로는 점검수수료 및 자재대 등 포함 10만 원씩 150세대 해서 1,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향후 추진일정입니다. 2015년 1월부터 2월까지 신청자 접수 및 선정을 하여 2015년 3월부터 대상자 선정을 완료해서 4월부터 12월까지 대상자에 대한 무료점검 및 개ㆍ보수를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111페이지 네 번째, 대소산단 배수로 개선사업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산업단지 내 노후된 배수로로 인하여 현재 한빛향료에 침수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개선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대소산업단지 배수로 개선사업입니다. 사업량은 배수로 교체 350m가 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우기 전까지는 완공을 하고자 합니다. 총사업비는 3억 5천만 원으로, 전액 군비가 되겠습니다. 세부사업내용으로 PE다중벽관이 350m, 콘크리트포장이 350m가 되겠습니다. 향후 추진일정은 내년 3월에 발주를 해서 6월까지는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112페이지입니다. 2015년도 공공근로사업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경제위기 등으로 인한 고실업 시기에 대량으로 발생한 저소득 실업자의 생계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공공근로사업으로 사업량은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분기별로 단계별 25명씩 선발하여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총사업비는 2억 9,462만 4천 원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도로 정비, 하천변 정비, 녹지 조성사업, 시설물 관리 등이며, 청년 맞춤형 사업은 전산화사업, 실태조사, 홍보 및 안내사업 등을 하겠습니다. 근로형태는 주 28시간을 근로원칙으로 만 29세 미만 청년은 주 40시간, 만 70세 이상은 주 15시간을 원칙으로 근로를 실시토록 하겠습니다. 향후 추진일정 및 기대효과는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14페이지 삼성농공단지 리모델링 사업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농공단지 내 노후된 공공시설로 인하여 안전사고 및 재해 발생이 우려되고 부족한 생활용수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사업명은 삼성농공단지 리모델링 사업입니다. 사업량은 위험지 정비와 편의시설 정비, 급수시설 정비 등 세 가지가 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3월부터 12월까지 완공하도록 하겠습니다. 총사업비는 3억 5천만 원으로 국비가 50%, 도비가 25%, 군비가 25%입니다. 세부사업내용입니다. 위험지 정비는 옹벽 설치가 40m, 울타리 설치가 200m, 편의시설은 주차장 및 진입로 정비가 1,570㎡, 급수시설 정비는 배수지 보수 및 주변 정리 1식과 대형관정 굴착을 1개소 측정토록 하겠습니다. 향후 추진일정 및 기대효과, 산출내역은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16페이지 일곱 번째, 대소전통시장 주차장 조성사업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은 전통시장 주변의 노상주차로 인한 교통혼잡 가중 해결과 지역주민의 오랜 숙원사업이며, 침체되어 가는 전통시장 회복을 위하여 편의시설인 주차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사업개요입니다. 위치는 대소면 오산리 산1-9번지 일원입니다. 사업량은 주차장 조성 3,995㎡입니다. 사업기간은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입니다. 총사업비는 30억 원으로 국비가 60%, 도비 10%, 군비 30%가 되겠습니다. 2015년도 총예산은 7억 5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향후 추진일정입니다. 군관리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신청 고시를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하고, 보상협의 및 소유권 이전을 6월부터 12월까지 하고, 2016년 예산확보 후 시설공사를 추진하겠습니다. 시설공사는 2016년 연말까지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기대효과 및 사업비 산출내역은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2015년 경제과 소관 세출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경제과의 일반회계 예산은 전년도 54억 8,079만 1천 원에서 10억 2,832만 3천 원이 증액된 65억 911만 4천 원입니다. 편의상 세부사업별 편성목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사무관리비로 현수막 100만 원, 홍보물 200만 원 등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내여비로 912만 원을, 시책추진 업무추진비로 800만 원을, 출연금으로는 햇살론 출연부담금 1억 1,72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물가안정 및 계량기 검사에 사무관리비로 물가안정 홍보에 서한문 54만 원, 현수막 100만 원 등 154만 원을, 착한가격업소 인센티브 지원으로 400만 원을, 소비자피해예방 홍보물 제작에 54만 원 등 60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62페이지 상단 기타 보상금으로 물가모니터요원 보상금으로 8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통시장 관리운영 사무관리비로 전통시장 활성화 홍보 현수막 제작에 100만 원을, 전통시장 장보기행사 어깨띠 50만 원, 장바구니 제작 150만 원 등 300만 원을 계상하고, 공공운영비로 전통시장 공공요금으로 전기요금 1,800만 원, 수도요금 180만 원, CCTV 통신회선료 1,560만 원 등 3,540만 원, 전통시장 홍보용 전광판 유지보수에 380만 원을, 시설물 유지보수에 1,680만 원, 개폐기 보수에 600만 원 등 공공운영비에 6,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행사운영비로는 충북우수시장 박람회 행사 추진에 300만 원, 전통시장 활성화 문화공연 행사비로 1천만 원 등 1,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행사사업보조로 감곡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공연행사로 2,400만 원, 시설비로 감곡전통시장 주차장 정비에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부물가모니터단 운영 기타보상금으로 안행부 주부물가모니터단 보상비로 국도비 43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63페이지입니다. 기업체협의회 행사지원 민간행사사업보조로 음성군기업체협의회한마음대회 개최로 1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으로 시설비로 대소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주차장 조성사업에 따른 부지매입비로 기금, 도비를 포함 7억 4,700만 원을, 시설부대비로 부지매입에 따른 감정평가비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 이차보전 지원사업으로 이차보전금 1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투자유치지원 사무관리비로 투자유치 홍보물 제작 450만 원, 투자유치 시외버스 광고 1,560만 원 등 2,010만 원, 국내여비로 384만 원, 시책추진 업무추진비로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64페이지 공장운영 편의지원입니다. 사무관리비로 기업체현황책자 제작 990만 원, 우수 중소기업 표창패 제작 150만 원 등 1,140만 원, 국내여비로 1,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에너지의 효율적인 공급관리사업으로 사무관리비 가스안전 및 에너지절약 홍보를 위한 홍보물 및 리플릿 제작 500만 원, 석유류 시료채취통 구입에 50만 원 등 550만 원을 계상하고, 국내여비로 684만 원, 시험연구비로 가짜석유제품 품질검사시료 구입비 100만 원, 포상금으로 에너지절약 우수부서 시상을 위한 170만 원, 자치단체 등 자본이전은 다음 페이지 365페이지 상단이 되겠습니다. LP가스사고예방 순회교육을 위한 홍보물 및 교재 제작비 930만 원, 강사료 140만 원을 계상하고, 지역에너지사업 시설비로 음성군보건소 태양광발전시설 국비 50%를 포함 9,452만 원, 대소보건지소 태양광발전시설 4,716만 원, 감곡보건지소 태양광발전시설 3,132만 원, 감리비로 3개소에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역에너지 절약사업으로 사무관리비로 지역에너지 절약사업 전문교육에 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그린홈 100만 호 보급 자체사업으로 민간자본사업보조로 태양광주택보급사업 30가구분 4,500만 원, 그린홈 100만 호 보급사업 도비보조사업으로, 366페이지 상단이 되겠습니다, 7가구분 1,05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은 국고보조사업으로 공기관 등에 대한 대행사업비로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비 500가구분 1억 1,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경로당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사업은 기금사업으로 민간자본사업보조로 2억 5,500만 원을 계상하고, 비영리시설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사업은 도비보조사업으로 민간자본사업보조로 3,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취약계층 전략효율향상사업은 국도비보조사업으로 시설비로 다음 367페이지 상단이 되겠습니다. 저소득층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LED등 교체사업 2억 2천만 원, 군민기초생활수급세대 전기시설 개선사업으로 공기관 등에 대한 대행사업비로 취약계층 전기시설 개선사업비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사업으로 금년도 처음으로 실시하는 도비보조사업으로 민간자본사업보조로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사업비로 4억 8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중소기업 육성자본 이차보전 지원으로 이차보전금 24억 500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충북테크노파크 출연금으로 6,5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368페이지 공공근로사업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로 공공근로사업 추진 인부임 급여 2억 6,784만 원, 사회보험 기관부담금 2,678만 4천 원 등 2억 9,462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노사화합행사 지원으로 행사운영비로 근로자의 날 행사에 200만 원을 계상하고, 민간행사사업보조로 노사화합체육대회 1천만 원, 기업체임직원한마음대회 1천만 원, 노사화합등반대회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 공공운영비 환경개선부담금으로 200만 원, 민간위탁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비로 200만 원, 시설비로 건물 및 기계 시설 유지관리비로 4천만 원, 지붕방수공사 및 노후시설 보수공사에 9,715만 원, 감리비로 28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69페이지 상단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헬스장 노후 장비 교체 4,200만 원, 정수기 교체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자리지원센터 운영에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로 취업상담사 인건비 급여로 1,817만 3천 원과 사회보험 기관부담금 181만 8천 원 등 1,999만 1천 원을 계상하고, 사무관리비로 일반수용비 200만 원, 복사기 임대료 240만 원, 행정장비소모품 구입비 토너와 드럼, 팩스, 소모품 등 276만 원, 행사운영비에 취업박람회 및 구인ㆍ구직 만남의 날 행사운영비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마을기업 육성사업으로 사무관리비로 홍보물 제작에 50만 원, 민간자본사업보조로 국도비를 포함 마을기업 육성사업비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으로 다음 37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로 인건비 1억 52만 6천 원, 사무관리비로 홍보비 및 부대비로 50만 원, 국내여비로 100만 원, 재료비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충북형 예비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으로 민간경상사업보조로 기금, 도비를 포함한 9,575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71페이지 사회적기업 사회개발비 지원사업으로 민간경상사업보조로 국도비를 포함 3,318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자리 창출 지원에는 공공운영비 사회보험 EDI 사용료 14만 4천 원과 국내여비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경제과 행정운영비 기본경비 사무관리비로 일반수용비 560만 원, 급량비 635만 원, 행정장비 소모품 구입비 칼라프린터 토너 및 드럼 300만 원, 일반프린터 토너 및 드럼 240만 원, 복사기 임대료 480만 원 등 사무관리비 2,311만 원을 편성하고, 공공운영비로 행정장비 유지보수비에 다기능 사무기기 130만 원과 다음 372페이지에 프린터기 48만 원, 팩스 1만 2천 원 등 179만 2천 원 계상하고, 국내여비로 경제과 업무추진 여비 240만 원과 부서운영 업무추진비 4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재무활동으로 내부거래 지출입니다. 농공산업단지 특별회계 전출금으로 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일반회계 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375페이지 농공산업단지특별회계 세입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세입 총계는 전년도 40억 5,669만 5천 원으로 전년도 대비 3억 7,867만 8천 원이 감액된 36억 7,801만 7천 원입니다. 세외수입은 27억 1,551만 7천 원으로 경상적 세외수입은 재산임대수입 공유재산 임대료 242만 9천 원, 사용료수입 도로사용료 8만 7천 원, 이자수입액 공공예금 이자수입으로 1,300만 원 등 1,551만 6천 원을, 임시적 세외수입은 재산 매각 수입으로 금왕산단 폐기물시설 매각 수입 13억, 하이텍산단 폐기물시설 매수 14억 등 27억 원, 기타수입으로는 과목존치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보조금은 2억 6,250만 원으로 국고보조금 등의 지역발전특별회계 보조금으로 삼성농공단지 리모델링 사업에 1억 7,500만 원, 시도비 보조금 등에 삼성농공단지 리모델링 사업 8,75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76페이지 보전수입등 잉여금에 순세계잉여금 3억 원과 내부거래 기타 회계 전입금 일반회계 전입금 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77페이지 세출예산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농공산업단지 시설개선으로 자치단체 간 부담금은 3단계 광역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분담금으로 1차년도분 1,030만 원, 시설비로 농공산업단지 유지보수 포괄사업비로 5천만 원, 대소산업단지 배수로 개선사업에 3억 4,748만 원, 금왕산업단지 관리사무소 개선사업에 1억 5,677만 6천 원 등 5억 5,425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부대비로는 대소산업단지 배수로 개선사업 부대비 252만 원, 금왕산단 관리사무소 개선사업 부대비로 감정평가 및 측량수수료 1,200만 원, 시설부대비 122만 4천 원 등 1,57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공산업단지 운영 예비비로 27억 4,771만 7천 원을 계상하고, 378페이지입니다. 삼성농공단지 리모델링 사업에는 시설비로 3억 4,748만 원, 부대비로 252만 원 등 3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경제과 2015년도 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김윤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대웅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성수 위원님 질의해주세요.
이대웅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안 계시면 제가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모든 실과에 다 들어가 있는 사업비인데 시책추진 업무추진비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활동비가 800만 원 세웠는데 이것은 그때그때 필요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사업인가요? 계획서가 있습니까?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경제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예산안 심사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내일은 오전 10시에 이 자리에서 재무과, 도시건축과, 산림축산과, 산업개발과, 건설교통과의 예산심사를 계속하겠습니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면 오늘 회의를 마치고자 합니다.
위원 여러분! 다른 의견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산회를 선포합니다.
(15시26분 산회)
한동완 위원 우성수 위원
이상정 위원 조천희 위원
이대웅 위원 윤창규 위원
김윤희 위원
○위원아닌의원
의장남궁유
○출석전문위원
전문위원윤석락
○출석공무원
부군수이학재
기획감사실장한동희
행정과장반재일
문화홍보과장조남설
종합민원과장이병호
경제과장권순갑
○회의록서명
위원장한동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