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3회 음성군의회(제2차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록
제5호
음성군의회사무과
2014년 12월 12일(금) 10시 00분
□의사일정(제5차 회의)
1.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2.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에 대한 수정안
□심사된안건
1.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가. 농업기술센터
나. 수도사업소
다. 시설관리사업소
2.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에 대한 수정안
(10시00분 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4차 회의를 개회하겠습니다.
1.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10시00분)
오늘은 농업기술센터, 수도사업소, 시설관리사업소 순으로 심사하고자 합니다.
먼저, 농업기술센터 소관 예산에 대하여 농업기술센터 소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농업기술센터
243쪽입니다. 자체사업으로 총 10건이 되겠으며, 2014년도보다 554만 2천 원이 증액된 6억 2,425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신규 사업으로 LED 전광판 등 4개 사업에 8,642만 6천 원과 계속사업으로 학습단체 화합 한마당 행사 등 6개 사업에 5억 3,783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44쪽입니다. LED 전광판 설치 신규사업으로 타 시군에는 LED 전광판이 대다수가 설치돼있는데 저희는 지금 안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현관하고 대회의실에 2개소에 대해서 2천만 원을 들여서 자체사업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게 되겠습니다. 청사 2층 대회의실 LED 전광판 1,500만 원과 청사 1층 현관 출입문에 2단 10열 해서 500만 원, 그래서 2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245쪽입니다. 탁상용 무선마이크장치 구입입니다. 이것도 사업비는 탁상용 마이크장치로서 저희가 회의라든지 교육이 많은데 이게 안 돼 있어서 내년에 설치하려고 합니다. 총사업비는 2,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청사 2층 대회의실에 15조의 탁상용 무선마이크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46쪽입니다. 농촌지도자 친환경농업 선도실천, 신규사업으로 9개소에 3,642만 6천 원을 투입해서 친환경농업 선도실천 친환경자재 및 미생물을 보급하는 사업으로 친환경농산물 안전생산을 위한 기반마련을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그래서 3월부터 시작해서 10월까지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47쪽입니다. 농촌생활자원 기술보급시범으로 3개 사업에 11개소가 되겠습니다. 3,500만 원을 투입해서 장류가공 소득화사업을 하는 것으로 장류가공생산설비와 기구설치를 해서 내년 12월까지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48쪽입니다. 학습단체 화합 한마당 행사, 계속사업으로 금년도에 1천만 원인데 내년도에는 1,200만 원을 들여서 제9회 농업인학습단체한마당대회를 11월 11일 음성체육관에서 개최하고자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49쪽입니다. 음성군 4-H야영교육 지원사업으로 이것도 계속사업으로서 내년도 1,200만 원을 투입해서 4-H야영교육 수련비에 800만 원, 4-H야영교육 차량 임차비 200만 원, 4-H야영교육 활동 운영비에 200만 원을 투입해서 내년 8월에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50쪽입니다. 축산물 브랜드 육성시범사업으로 3개사업에 7개소를 하는 사업으로 2,800만 원을 투입을 해서 고품질 양봉 부가가치 향상 시범을 하는데 이동식 저온저장고를 설치하고 봉부산물을 통해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또한 육계사육환경개선 생산비 절감 시범을 1개소를 해서 1,400만 원을 지원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251쪽입니다. 친환경관리실 운영으로 총사업비는 4억 8,266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기간제근로자 인부임 1명과 미생물 배양, 실험재료 등을 구입하고 일반운영비로 쓰고자 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253쪽입니다. 농기계 순회수리교육으로 이것도 계속사업이 되겠습니다. 총사업비 1개소에 연간순회수리 50회를 목표로 4억 8,314만 원을 투입해서 하는 사업으로서 오지마을 우선으로 농기계 순회수리교육을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54쪽입니다. 농기계임대사업소 운영이 되겠습니다. 2억 9,346만 5천 원을 투입해서 임대사업에 따른 운영을 계속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이상 간단하게 참고자료 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농업기술센터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사업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고드릴 순서는 일반회계 세출예산과 수질개선특별회계, 농촌전문인력육성기금 순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69쪽입니다. 농업기술센터 일반회계 세출예산입니다. 2015년도 총예산으로 47억 9,460만 원이 계상되었으며, 음성군 전체예산 3,633억 원의 1.3%가 되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국비가 16.8%, 지역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이 2.6%, 도비 5.6%, 군비가 75%가 되겠습니다. 농촌지도 기반조성에 전년보다 9억 1,905만 4천 원이 감액된 4억 8,32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경상사업보조 농작업환경개선 편이장비 지원에 800만 원, 시설비 및 부대비로 공정육묘장 시설개선에 1억 3천만 원, 민간자본보조로 농작업환경개선 편이장비 지원에 4,200만 원, 공정육묘장 장비 구입에 7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0쪽입니다. 농촌지도 서비스 기반구축 국내여비 598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공공시설 유지관리비 일반운영비에 1억 9,675만 원으로 사무관리비 3,990만 원, 공공운영비 1억 5,685만 원이 되겠습니다.
671쪽입니다. 민간이전으로 무인경비시스템 운영에 1,056만 원, 시설비 및 부대비 청사현관, 대회의실 LED 전광판 설치비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농촌인력육성 3,210만 8천 원이 증액된 4억 3,454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업전문인력양성에 일반운영비 6,098만 원, 사무관리비 402만 원, 행사운영비 5,6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2쪽입니다. 농업전문인력양성 여비로 1,61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재료비 280만 원과 일반보상금에 교육 및 연구모임 육성으로 56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3쪽입니다. 민간경상사업보조로 귀농현장 실습교육에 4,200만 원을 계상했으며, 농촌지도사업 활력화 지원사업비로 1억 2,57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에 3,958만 원, 여비에 500만 원, 일반보상금 1,080만 원, 민간이전 315만 원이 되겠습니다.
674쪽입니다. 민간자본사업보조에 6,7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촌지도자회 육성에 5,186만 6천 원을 계상했으며, 일반운영비 520만 원, 여비 336만 원, 일반보상금 2,038만 원, 민간이전 1,650만 원이 되겠습니다.
675쪽입니다. 농업전문기술교육에 4,0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3,390만 원, 일반보상금 640만 원입니다. 농업경영인 여성농업인 육성으로 1,262만 5천 원을 계상했으며, 일반운영비 238만 5천 원, 재료비에 700만 원, 일반보상금 324만 원이 되겠습니다.
676쪽입니다. 4-H회 육성에 5,45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로 780만 원과 재료비 1,170만 원, 그리고 일반보상금 1,101만 원이며, 4-H활동을 위한 민간이전으로 1,600만 원과 민간자본이전 8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전문농업인 최고경영자과정 육성으로 민간자본이전에 2,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7쪽입니다. 생활경영기술 보급에 2억 1,386만 원이 증액된 5억 1,25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이전으로 농촌 전통생태자원 활용기술 시범에 2천만 원과 장류제조 체험상품화 기술보급에 2,500만 원입니다. 농작업 재해예방으로 작목별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시범 민간경상사업보조로 2,500만 원과 민간자본사업보조 2,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678쪽입니다. 선도농가경영 육성에 6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경영진단 DB화 인건비 450만 원과 일반운영비 3,650만 원이 되겠습니다.
679쪽입니다. 국내여비 600만 원, 일반보상금 300만 원과 민간경상사업보조 자율모임체 지원에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업경영기술 현장실용화에 300만 원과 농업기술보급 정보화 인건비 1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680쪽입니다. 농촌생활 활력화 기술보급으로 일반운영비 3,148만 원, 재료비 1,200만 원과 향토음성상품화 농가맛집 조성 연구용역비로 2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681쪽입니다. 행사실비보상금 100만 원과 농촌문화 체험농장 육성 등 4개 사업 경상보조로 2,900만 원이며, 민간자본이전 사업보조로 9,7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2쪽입니다. 자산취득비로 700만 원과 농산물소득 조사분석 여비 172만 원, 일반보상금 344만 원이며, 농촌여성 전문능력교육에 7,095만 원을 계상하여, 일반운영비 1,732만 원이 되겠습니다.
683쪽입니다. 여비 326만 원, 교육 재료비 1,920만 원, 일반보상금 1,317만 원이 되겠습니다.
684쪽입니다. 민간이전 1,800만 원을 계상하여, 생활기술교육장 운영 일반운영비 500만 원과 브랜드 경영개선 지원 일반보상금 60만 원, 장류가공 소득화 시범사업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식량작물 기술보급으로 2,073만 원이 증액된 5억 3,64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신기술 보급사업으로 현미용 신품종 생산가공유통 일관체계화 시범에 2억 원이 되겠습니다.
685쪽입니다. 병해충 종합진단기술 지원에 인건비 1,030만 원, 일반운영비 100만 원, 일반보상금 480만 원, 시설비에 25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새기술보급사업 확산으로 농산물 병해충 긴급방재비 8,121만 8천 원과 환경친화형 용출제어비료 시범 등 3개 사업에 4,5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6쪽입니다. 식량작물 기술보급으로 여비 960만 원, 업무추진비 300만 원, 민간자본이전 3개 사업에 5,369만 원을 계상하였고, 고품질 쌀 생산대책 추진에 45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87쪽입니다. 쌀 품질관리실 운영에 인건비 442만 원, 일반운영비 300만 원, 연구개발비1,4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농업미생물생산시설 운영에 9,783만 4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인건비 2,511만 4천 원과 일반운영비 1,622만 원, 재료비 4,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688쪽입니다. 연구개발비로 800만 원과 자산취득비 150만 원입니다. 선진축산 기술보급에 5억 7,341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신기술 보급으로 한우 암소비육 사양기술 보급 시범에 1억 원과 흑염소 품질 고급화 생산기술 보급 시범 등 3개 사업에 2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새기술 보급사업 확산에 인건비 1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689쪽입니다. 미생물생산 재료비 1천만 원을 계상했으며, 민간자본이전에 기후변화 대응 돈사 에너지절감 시범 등 6개 사업에 8,400만 원입니다. 축산물 브랜드 육성으로 민간자본이전 2,800만 원을 계상하였고, 690쪽입니다, 친환경관리실 운영에 1억 2,118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건비 1,178만 6천 원, 일반운영비 2,240만 원, 미생물 배지 등 재료비 7,800만 원, 연구개발비 900만 원입니다. 소득작목 기술보급에 3억 5,021만 6천 원이 증액된 10억 8,90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신기술보급사업으로 민간자본이전에 시설채소 고온예방 환경관리 시범에 1억 원과 과채류 유묘적심 2줄기 유인재배 기술시범 등 5개 사업에 4억 9,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91쪽입니다. 자산취득비 4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새기술보급사업 확산에 3억 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1,300만 원, 재료비 300만 원, 일반보상금 400만 원이 되겠습니다.
692쪽입니다. 민간자본이전에 고효율 안전 생력화 방제시범 등 15개 사업에 2억 8,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93쪽입니다. 과수경쟁력 강화시범에 6,71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138만 원, 여비 768만 원, 재료비 165만 원, 연구용역비 1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694쪽입니다. 민간자본이전에 기상재해 극복을 위한 과원조성 시범 등 3개 사업에 4,55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채소 품질향상 체계개선으로 민간자본이전 350만 원과 고품질 화훼 생산체계 구축 교육에 따른 일반운영비 재료비 846만 원과 기후변화대응 화훼생산기술 시범 등 4개 사업에 3,7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95쪽입니다. 고소득 특용작물 생산기술에 2,076만 원으로, 연구회 육성 운영비와 보상금 326만 원과 민간자본이전 1,750만 원입니다. 농ㆍ특산물 전시 및 홍보에 850만 원으로 농ㆍ특산물 품평회 운영 및 보상금이 되겠습니다.
696쪽입니다. 민간자본이전으로 오디 수확망 설치 신기술보급에 7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기계화 영농지원에 4억 7,432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기계 훈련지원에 8,400만 원, 재료비 800만 원과 자산취득비로 소형 트랙터 등 3대 구입에 7,600만 원입니다. 새기술보급 확산에 1,500만 원으로 농기계 순회수리교육 지원 재료비가 되겠습니다.
697쪽입니다.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에 3억 414만 5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인건비 2,665만 5천 원과 일반운영비 1억 3,880만 원이며, 농기계 업무추진 여비 768만 원, 민간위탁금 300만 원과 임대사업에 요구되는 농기계 11대와 운영물품 구입비 1억 2,801만 원이 되겠습니다.
698쪽입니다. 농기계 순회수리교육 7,118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일반운영비에 1,608만 원, 농기계 순회수리교육 재료비 5,510만 원입니다. 특화작목 지원에 1,126만 3천 원이 증액된 3억 2,344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과학영농현장기술 지원비 인건비 1,800만 원과 699쪽입니다, 토양검정 시약 구입비 140만 원입니다. 공정육묘장 운영에 1억 3,837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건비 4,419만 4천 원, 일반운영비 4,650만 원, 여비 768만 원, 재료비가 4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유리온실 운영에 2,53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건비 884만 원, 일반운영비 50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00쪽입니다. 재료비 1,150만 원입니다. 실증포 운영에 3,39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건비 884만 원과 일반운영비 710만 원, 실증포 운영 시험연구비 1,8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토양종합분석실 운영에 2,6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1,200만 원, 시험연구비 1,250만 원, 폐액 위탁처리비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농약잔류분석실 운영에 7,98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인건비 884만 원과, 701쪽입니다, 일반운영비 2,100만 원, 시험연구비 5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행정운영경비에 1억 15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5,109만 2천 원과 여비 480만 원이 되겠습니다.
702쪽입니다. 업무추진비 866만 원과 탁상용 무선마이크장치 구입 등 자산취득비 3,69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재무활동으로 내부거래 지출입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 전출금으로 2억 6,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농업미생물실 시설보완사업 1억 3,600만 원과 친환경관리실 운영 활성화 사업 1억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질개선특별회계입니다. 705쪽이 되겠습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 세입예산입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 세입은 6억 7천만 원으로 국고보조금 기금수입으로 4억 400만 원이며, 농업미생물실 시설보완사업 2억 400만 원과 친환경관리실 운영 활성화사업 2억 원이 되겠습니다. 내부거래 일반회계 전입금 2억 6,600만 원으로 농업미생물실 보완사업 1억 3,600만 원과 친환경관리실 운영 활성화사업 1억 3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706쪽이 되겠습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 세출예산입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 세출예산은 6억 7천만 원이며, 농업미생물실 시설보완사업으로 3억 4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재료비로 미생물 배지 구입비 1억 5천만 원과 미생물 포장재 구입 2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자산취득비로 미생물 배양시설 1억 7천만 원이며, 친환경관리실 운영 활성화 사업으로 3억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재료비로 미생물 배지 구입 1억 1천만 원과 미생물 포장재 구입비 2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자산취득비로 미생물 포장기 1억 3천만 원, 미생물 검경장비 7천만 원을 계상을 하였습니다.
다음은 농촌전문인력육성기금입니다. 711쪽이 되겠습니다. 운용총칙입니다. 농촌전문인력 육성을 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금 조성액은 2014년도 말 3억 3,798만 4천 원이며, 2015년도 조성계획은 수입 1,115만 8천 원, 지출 1,590만 8천 원이며, 2015년도 말 조성액은 3억 3,323만 4천 원이 되겠습니다. 지원기준은 적립금 이자수입액의 90%가 되겠습니다.
712쪽입니다. 자금운용계획은 2015년도 수입으로 1,115만 8천 원과 적립금이며, 지출은 1,590만 8천 원과 예치금이 되겠습니다.
713쪽입니다. 수입계획으로 1,115만 8천 원 중 이자수입 820만 원과 기타수입 295만 8천 원 그리고 예치금 회수분이 되겠습니다.
714쪽입니다. 지출계획입니다. 농촌지도자회 기금관리에 661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558만 8천 원과 장학금 등 보상금 102만 8천 원입니다. 생활개선회 기금관리에 429만 원을 계상하였고, 일반운영비 129만 원과 보상금 300만 원이 되겠습니다. 4-H 본부회 기금관리에 50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 55만 원과 일반보상금 445만 2천 원이 되겠습니다.
715쪽입니다. 재무활동에 학습단체 예치금으로 3억 3,726만 5천 원이 되겠습니다.
716쪽입니다. 연도별 기금조성 및 집행현황과 717쪽 집행액 그리고 718쪽 예치금 및 예탁금 명세는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사업별 설명서와 일반회계와 수질개선특별회계, 농촌전문인력육성기금의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김윤희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대웅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그러면 소장님 제가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앞서서 위원님들께서 말씀하신 부분인데 684쪽에 민간자본사업보조에 장류가공 소득화 시범사업을 소장님께서도 현재 몇 군데 업체가 있는데 제대로 운영하기가 참 힘들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이 요구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업을 이렇게 세웠다고 하시는데 어려움을 알면 하지 마셔야지 농민들이 아무리 요구를 한다고 해도 농민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하셔도 좋지만 어려움을 알면 농민들을 설득하셔서라도 하시면 안 됩니다. 그리고 앞으로 농민들이 원한다고 해서 농민들한테 원하는 것을 그냥 농민이라고 다 해 준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고, 아무리 농민이 원해도 불요불급한 게 아니면 예산 절감해야 되니까 괜히 해놓고 제대로 사용 안 되는 낭비성 예산이 될 수 있으니까 그런 것은 심도 있게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업기술센터 소장님 수고셨습니다.
(10시58분 회의중지)
(11시10분 계속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수도사업소 소관 예산에 대하여 수도사업소장님께서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수도사업소
먼저 공공시설 절수설비 설치사업입니다. 절수설비 설치 의무화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해서 공공시설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세면기 802개, 소변기 절수 포함해서 475개, 대변기 617개, 샤워기 208개 총 2,102개를 내년도에 2,650만 원을 들여서 설치하려고 합니다. 세부적인 내역은 259페이지 내용입니다.
다음 금왕분뇨처리장 협잡물처리기 설치사업입니다. 금왕분뇨처리시설의 개선사업과 관련해서 노후된 협잡물처리기를 교체하여 완벽한 분뇨처리를 하기 위해서 협잡물 2개를 4억 5천만 원에 구입해서 설치하고자 합니다.
다음 페이지 마을상수도 개선사업입니다. 소규모 수도시설 설치지역에 노후된 수도시설물을 개선하고 지하수 수원 부족 지역을 해소하여 주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마을상수도 개선사업으로 노후관 교체 3.5㎞, 관정개발 1식으로 해서 2억 예산 들어서 설치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263페이지입니다. 옥외자동검침기 설치사업입니다. 검침이 곤란한 수용가에 상수도 옥외자동검침기를 설치하여 검침 불신으로 인한 주민불편을 해소하고 검침 업무의 신속성 및 정확을 기하기 위해서 2017년까지 계속사업으로 대상은 9,284개인데 내년도에는 2,321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264페이지입니다. 광역상수도 급수구역 확대 사업입니다. 충주댐 계통 광역상수도를 주민에게 공급하고 있으나 급수구역 외 지역이 지하수 오염 및 수량 부족 등 식수난 지역에 우선적으로 상수도 관로를 매설하여 주민에게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고자 금왕읍 오선리~대소면 성봉리 외 3개소에 대해서 18억의 예산을 들여서 설치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266페이지입니다. 대소 하수관거 정비사업입니다. 대소, 삼성지역의 하수관거를 설치하여 하수처리구역 확대로 주민생활의 환경개선 및 보건위생 환경을 향상시키고자 하수관로 12.5㎞, 배수설비 1,063가구, 중계펌프장 2개소를 2018년까지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도에는 7억 1,4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용역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267페이지입니다.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입니다. 소규모 수도시설 설치지역에 노후된 수도시설물을 개선하여 지하수 수원 부족 지역을 해소하여 주민 건강증진에 기여코자 노후관 8㎞에 대해 내년도 4억 4천만 원을 들여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것은 국도비 사업입니다.
낙후지역 먹는물 수질개선사업입니다. 음성군 관내 낙후지역에 노후된 수도시설물을 개선하고 지하수 수원 부족 지역을 해소하여 주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노후관 6㎞, 물탱크 및 개폐감지장치 설치 10개소를 내년도에 3억 1천만 원을 들여서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것은 국비, 군비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소이, 원남, 맹동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위치는 소이, 원남, 맹동면 일원으로 배수관로를 12.5㎞ 확장하는 사업으로 금년도에는 20억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소이, 원남에는 8.5㎞, 맹동에는 4㎞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71페이지입니다. 대소하수공공처리시설 증설사업입니다. 대소, 삼성지역의 지속적인 인구 유입으로 처리장 증설이 시급한 실정임에 따라 대소하수처리시설을 증설하여 하수처리원을 기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현재 4,000t에서 2,000t을 증설하는 사업입니다. 2015년까지 계속사업입니다. 내년에는 43억 300만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273페이지입니다. 금왕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입니다. 금왕 지역의 지속적인 인구 유입으로 처리장 증설이 시급한 실정임에 따라 금왕하수처리시설을 증설해서 하수처리원을 기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기존 6,000t에서 2,000t을 증설하는 사업으로 2016년까지 계속사업입니다. 내년도에 24억 6천만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275페이지입니다. 음성읍 하수관거 정비사업입니다. 음성읍의 합류식 하수도를 분리식 관거로 정비하고자 사업량 35㎞를 정비하고 배수설비를 980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2016년까지 계속사업으로 내년도에는 89억 6천만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277페이지입니다. 맹동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입니다. 맹동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해서 환경기초시설 확충으로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 및 보건 위생환경을 향상시키고자 하수처리시설 일일 100t, 하수관거 11㎞를 2017년까지 계획하고 있습니다. 금년도에는 13억 3,100만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주요사업 예산 설명을 마치고 본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수도사업소 2015년도 당초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설명드릴 순서는 일반회계, 상수도특별회계, 하수도특별회계, 지하수관리특별회계, 수질개선특별회계 순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 수도사업소 총 예산 규모는 전년도 대비 28억 8,034만 원이 감액된 639억 2,147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721페이지입니다. 일반회계입니다. 일반회계는 전년도 예산보다 22억 9,010만 2천 원이 감액된 125억 6,653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마을상수도 수질관리에 수질검사 수수료와 먹는물 소독약 구입비로 6,946만 3천 원을 편성하고, 청사시설 유지관리에 따른 사무관리비 214만 원, 공공운영비 3,284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 무인경비시스템에 120만 원, 검침원 사무실 자산취득비에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마을상수도 개선사업은 2억 244만 원을 계상하였고, 마을상수도 유지관리비로 4억 1,576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은, 다음 페이지, 노후관을 교체하는 사업으로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비 등으로 4억 4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3페이지입니다. 낙후지역 먹는물 수질개선사업은 소이면 갑산리 등 10개 마을 배수탱크 교체사업비로 3억 1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마을상수도 지하수 영향조사는 소이면 비산1리 1개 마을의 지하수에 대해서 1천만 원을 계상하여 법정 지하수 영향조사를 실시토록 하겠습니다. 또한 수질오염예방 일반운영비로 1,015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다음 페이지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를 위해서 수질검사용 채수병 구입으로 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행정운영경비로 행정장비 소모품 구입 등 1,300만 7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공기업특별회계 전출금으로 상수도특별회계 자본전출금 34억 8,416만 6천 원과 하수도특별회계 자본전출금 74억 94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725페이지입니다. 기타 특별회계 전출금으로 지하수관리특별회계 전출금 1억 4,98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7페이지입니다. 상수도특별회계로 729페이지 예산총칙과 733페이지 예산총괄표, 735페이지 사업예산총괄표는 설명을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737페이지 수익적 수입입니다. 사업수익은 전년 대비 5억 1,960만 3천 원이 증액된 124억 2,926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용료 수익에 78억 5,085만 6천 원을 계상하였고, 급ㆍ배수공사 수익은 상수도 신규 급수공사비로 10억 3,120만 원을 계상하고, 기타 영업수익은 상수도 신규 급수공사 수수료와 상수도 개전수수료로 48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영업 외 수익은 전년보다 12억 3,881만 3천 원이 감액된 35억 4,232만 원이며, 예금이자수입에 3,980만 원과 일반회계 전입금에 34억 8,416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38페이지입니다. 타 특별회계 전입금은 하수도공기업특별회계 위탁징수 부담금 수입으로 1,735만 3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기타 영업 외 수익으로 상수도 손괴자 변상금 등 100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39페이지 수익적 지출입니다. 사업비용은 103억 9,519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급ㆍ배수공사비 상수도 신규 급수공사비로 9억 9,9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일반관리비 인력운영비는 14억 2,284만 9천 원으로 세부내역은 742페이지까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743페이지입니다. 일반운영비 중 사무관리비는 1억 5,73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44페이지입니다. 일반운영비 등 공공운영비는 1억 517만 6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국내여비로 6,936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45페이지입니다. 업무추진비로 9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재료비로 정수구입비로 69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연구개발비로 상수도 요금현실화 용역, 상수도 중장기 경영관리계획 용역으로 총 1,9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동파계량기 교체비로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동력비로 배수지 등 전기요금 1,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46페이지입니다. 일반보상금에 누수신고 보상금 등에 6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연금부담금 2억 112만 원을 계상하였고, 민간검침활동 지원비로 2억 1,806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충주댐 광역상수도 상수원 공급에 대한 공동관리경영부담금 6,466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47페이지입니다. 전기 손익수정 손실비로 지난연도 상수도 사용료 과오납 반환금과 신설공사 과오납 반환금으로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사업예산 예비비로 95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본예산으로 750페이지 자본예산 총괄표는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751페이지 자본적 수입입니다. 751페이지 자본적 수입은 전년도보다 60억 8,477만 원이 감액된 23억 1,072만 7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계량기 매각 수입 4,372만 7천 원을 계상하고, 타 회계 건설보조금 수입 중 국고보조금 수입은 소이ㆍ원남, 맹동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비에 14억을 계상하였으며, 도비보조금은 유수율 제고사업과 소이ㆍ원남, 맹동면의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비 4억 1,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상수도 신규 급수공사 원인자 부담금으로 4억 5,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52페이지입니다. 상수도 사용료 미수금으로 1억 원, 순세계잉여금 수입으로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53페이지입니다. 자본적 지출은 전년 대비 65억 6,766만 원이 감액된 54억 4,4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건물 시설비 및 부대비로 8개 읍면 배수지 유지보수 및 청소와 제초 용역비로 2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광역상수도 급수구역 확대사업비 17억 9,352만 원과 관로보수 및 급수장치 유지보수비 3억 9,71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소이ㆍ원남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비에 12억 8,600만 원과 맹동면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비 7억 1,4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유수율 제고사업 3억 8,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54페이지입니다. 옥외자동검침기 설치사업비 및 유지보수비, 노후계량기 교체사업비, 절수설비 설치 시설비로 5억 1,37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산취득비로 7,4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자본예산 예비비로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56페이지 자금운용계획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759페이지 하수도특별회계입니다. 768페이지까지 예산총칙과 예산총괄표, 사업예산총괄표 설명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769페이지입니다. 수익적 수입입니다. 수익적 수입은 전년예산 135억 609만 3천 원보다 5억 7,723만 4천 원이 증액된 140억 8,332만 7천 원을 편성하였으며, 영업수익 9억 6,609만 원과 영업 외 수익 131억 1,723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71페이지입니다. 수익적 지출입니다. 수익적 지출은 전년 대비 7억 3,350만 5천 원이 증액된 114억 7,680만 2천 원으로 하수관거정비 BTL사업 시설임대료 49억 5,900만 원과 성과평가위원회 운영수당 7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재료비에 하수도 보수용 자재 구입비 등으로 1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기타 민간이전에 하수관거정비 BTL사업 관리 운영에 따른 민간위탁비 10억 원을 계상하였고, 대행사업비로 성과평가를 위하여 위탁에 따른 수수료 4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운영비에 하수처리장 민간위탁 성과평가수수료 5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72페이지입니다. 공공하수처리장 전용회선료 2,700만 원과 시설장비 유지비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연구용역비로 금왕, 대소 공공하수처리장 정밀진단 용역비로 2천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음성읍 하수관로에 대한 기술진단 용역비 5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민간위탁금에 공공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설, 하수찌꺼기처리시설 운영에 따른 47억 3,2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공기관 등 경상적 대행사업비로 감곡면 하수처리를 장호원하수처리장에 운영 관리함에 따라 분담금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73페이지 이하 인건비 부분은 유인물로 대신하겠습니다.
다음은 775페이지입니다. 775페이지 하단에 운영경비 사무관리비는 2,83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페이지 776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는 하수도협회비 등 940만 2천 원을 계상하였고 하수도 중장기 경영관리계획 용역비 950만 원과 연금부담금 5,053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77페이지입니다. 공기업특별회계 간 부담금은 1,735만 3천 원을 계상하였고, 전기손익수정손실로 하수도요금 착오부과지역 사용료 반환금으로 3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예비비로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80페이지 자본예산총괄표는 유인물로 대신하겠습니다.
781페이지 자본적 수입입니다. 자본적 수입은 전년보다 63억 5,838만 6천 원이 증액된 155억 3,8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에 대소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등 5건 사업에 대하여 119억 4,6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타 회계 건설보조금 수입에 금왕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등 2건 사업에 대하여 23억 5,0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도비 보조금으로 대소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등 5개 사업에 10억 4,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하수도 원인자부담금은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82페이지입니다. 자본적 지출은 전년보다 68억 211만 5천 원이 증액된 191억 6,472만 5천 원을 편성하였으며, 구축물 시설비로 공공하수도 관련 민원해결사업비 등 6개 사업에 9억 5,948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건설 중인 자산 시설비로 대소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은 43억 3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금왕공공하수처리장 증설사업은 24억 6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83페이지입니다. 음성읍 하수관거정비3차사업에 89억 6천만 원, 맹동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에 13억 3,100만 원, 대소면 하수관거정비사업에 7억 1,400만 원, 찌꺼기처리시설 설치사업에 4억 2,58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예비비로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85페이지입니다. 자금운용계획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791페이지 지하수관리특별회계입니다. 세입예산은 1억 8,582만 원으로, 시도비 보조금 3,600만 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1억 4,982만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792페이지입니다. 세출예산은 전년도보다 525만 원이 증액된 1억 8,582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지하수 보조망관측사업으로 1억 2천만 원과 지하수 오염방지시설사업에 일반운영비 3,082만 원과 시설비에 지하수폐공 복구비용 등에 3,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질개선특별회계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795페이지입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입니다. 세입예산 전년 대비 26억 6,594만 1천 원이 감액된 46억 8,760만 원으로 국고보조금으로 음성읍 하수관거정비3차사업 등 6건에 46억 8,76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96페이지입니다. 세출예산은 전년 대비 26억 6,594만 1천 원이 감액된 46억 8,760만 원으로 계상하였으며, 공기업특별회계 전출금으로 46억 8,7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설명을 들으시고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성수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천희 위원님!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안 계시면 참고로 제가 한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267페이지, 이건 뭐 페이지 얘기할 것도 없는데 낙후관 교체사업에 예산이 너무 적은 것 같아요. 사실 깨끗한 물을 보급하려면 낙후된 관을 빨리 교체시켜줘야 될 것 같은데 예산이 없어서 그런지 예산이 굉장히 적네요?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수도사업소장님 수고셨습니다.
다. 시설관리사업소
282페이지입니다. 첫 번째, 금왕생활체육공원 내 보수사업입니다. 금왕생활체육공원 내 보수사업은 게이트볼장 인조잔디, 씨름장 연단 및 관중석 증축, 테니스장 사무실 건립으로 사업비 5억 2,300만 원이 소요되며, 2015년 3월에 착공, 12월에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284페이지입니다. 두 번째, 삼성생활체육공원 내 보수사업입니다. 삼성생활체육공원 내 보수사업은 기존 축구장 4m 펜스에서 6m 그물망 펜스로 교체, 트랙 및 옹벽 보수로 사업비 3억 원이 소요되며, 2015년 3월에 착공, 6월에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286페이지입니다. 세번째, 생극게이트볼장 정비사업입니다. 생극면 방축리 65-17번지 다목적광장 내 게이트볼장 1면 조성으로 사업비 4천만 원이 소요되며, 2015년 3월에 착공, 12월에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288페이지입니다. 네 번째, 소이게이트볼장 정비사업입니다. 소이면 금고리 116-4번지 기존 게이트볼장에 대하여 인조잔디 정비사업으로 사업비 4천만 원이 소요되며, 2015년 3월에 착공하여 6월에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290페이지입니다. 다섯 번째, 반기문 생가 노외주차장 화장실 건축사업입니다. 반기문 생가 노외주차장 기존 화장실이 협소하여 생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불편함이 급증함에 따라 관광객의 불편을 해소코자 화장실에 남녀 변기 및 소변기를 각각 7기를 설치할 계획으로 사업비 2억 1천만 원이 소요되며, 2015년 4월에 착공하여 12월에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292페이지에서 296페이지입니다. 여섯 번째, 감곡도서관 운영과 일곱 번째, 감곡 도서관 도서 구입입니다. 감곡도서관은 2014년 6월에 착공하여 2015년 5월 준공 예정이며, 감곡도서관 개관 및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도서관 정보화시스템 구축, 집기류 및 도서 구입 등 업무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어서 2015년 세출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99페이지입니다. 시설관리사업소 예산액은 전년도 예산보다 26억 5,810만 원이 감소된 108억 5,41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문화예술회관 운영관리를 위해 총 8억 56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인건비 1,964만 원, 일반운영비 7억 1,748만 원, 국내여비 960만 원, 홈페이지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비 1천만 원, 자원봉사자 일반보상금 105만 원, 민간위탁금 384만 원, 문화예술회관 전시동 방수공사를 위해 시설비 3,500만 원과 자산취득비 90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2페이지입니다. 대소도서관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6,234만 원, 도서관 업무추진 여비 324만 원, 민간위탁금 192만 원, 자산취득비 430만 원, 도서구입비 1천만 원, 아기와 함께 하는 책사랑 운동 행사운영비 2,184만 원, 일반보상금 116만 원, 작은도서관 도서 구입 지원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4페이지입니다. 2015년 5월 준공 예정인 감곡도서관 유지관리를 위한 운영비 3,198만 원, 민간위탁금 132만 원, 서가안내판 설치를 위한 시설비 650만 원, 각종 집기류와 도서 프로그램 및 서버 구축을 위한 자산취득비 6억 4,700만 원, 도서 구입비 1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5페이지입니다. 관광지 운영관리를 위한 인건비 1,767만 원, 일반운영비 6,942만 원, 806페이지입니다, 민간위탁금 1,284만 원과 시설관리사업소 2015년 특수시책인 반기문 생가 노외주차장 화장실 건축을 위한 시설비 2억 1천만 원, 여성회관 보수 6,286만 원, 자산취득비 200만 원, 시설관리사업소 관리팀 업무추진 여비 68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7페이지입니다. 체육공간 조성 및 유지 관리를 위해 2015년 기공식 및 준공식을 위한 행사운영비 3천만 원, 체육시설 업무추진 여비 768만 원, 문화ㆍ체육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해 시설비 5억 4,900만 원, 감곡체육공원 조성사업을 위해 시설비 등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8페이지입니다. 대소생활체육공원 조성사업을 위해 시설비 등 16억 원을 계상하였고, 체육시설 운영관리를 위해 인건비 3,535만 원, 일반운영비 4억 8,081만 원, 운영관리 업무추진 여비 1,416만 원, 재료비 1,500만 원, 민간위탁금 3,162만 원, 자산취득비 1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9페이지입니다. 혁신도시 체육광장 조성사업에 시설비 29억 7,100만 원, 금왕생활체육공원 보수를 위한 시설비 5억 2,300만 원, 음성 덕생전천후게이트볼장 조성사업 시설비 등 6억 원, 삼성생활체육공원 보수에 3억 원, 음성권역 원남생활체육공원 조성사업을 위한 기본계획용역비 2,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11페이지입니다. 문화재 운영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3,519만 원, 문화재관리 업무추진 여비 216만 원, 민간위탁금 588만 원, 도지정문화재 보수정비사업에 일반운영비 2,520만 원, 민간경상사업보조 1,500만 원, 시설비 9,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12페이지입니다. 군지정문화재 보수를 위한 일반운영비 2천만 원, 시설비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13페이지입니다. 문화재 재난방지시스템 구축을 위한 일반운영비 1천만 원, 시설비 3천만 원을,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정비사업을 위해 시설비 1억 8,7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1,622만 원, 업무추진 여비 240만 원, 정원가산 업무추진비 72만 원, 부서운영 업무추진비 4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제가 한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 직제 신설로 해서 관리하고 운영이 이원화된 데 대한 문제점이 있을 것 같은데 문제점이 없습니까?
이상으로 오전회의를 마치고자 합니다. 오후회의는 오후 2시에 속개하기로 하고 정회를 선포합니다.
(12시06분 회의중지)
(13시58분 계속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오후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운영 변경사항에 대하여 의사팀장으로부터 보고가 있겠습니다.
음성군수로부터 2015년 12월 8일자로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에 대한 수정안이 접수되어 본 위원회로 이송되었습니다. 따라서 2015년 세입ㆍ세출예산안과 병행하여 수정예산을 심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2. 2015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에 대한 수정안
(11시14분)
먼저 기획감사실장께서는 나오셔서 수정안에 대하여 제안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방교부세 중 보통교부금이 기정액 1,263억 원에서 29억 원이 증액된 1,292억 원, 그리고 국ㆍ도비보조금은 기정액 1,286억 7천만 원에서 8억 1천만 원이 증액된 1,294억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예산에 대하여 실과별 일괄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국ㆍ도비보조금의 변경내시에 따라 금액 변경이 경미한 사항과 예산 삭감사업, 금액변동 없이 예산과목만 조정된 사업은 설명을 생략하고, 신규로 편성된 주요사업 위주로 간단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주민복지실 소관으로 장애인복지관 운영비로 3,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문화홍보과 소관으로 연구용역비로 관광지 타당성 검토 용역비 1억 5천만 원, 재무과 소관으로 대소면 청사신축사업 시설비 및 부대비 20억 원을, 농정과 소관으로 친환경농업 직불제 사업 기타보상금 3,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건설교통과 소관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유지보수사업 시설비로 1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비비는 1억 2,700만 원을 감액하여 37억 4,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활력 있는 복지 음성 실현을 위하여 제안설명드린 2015년 세입ㆍ세출예산안 수정예산안이 원안 승인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배려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이어서 직제순으로 수정예산안에 대한 설명과 질의ㆍ답변 시간을 갖겠습니다.
먼저 기획감사실 소관 수정예산에 대하여 기획감사실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할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기획감사실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주민복지실 소관 수정예산에 대하여 주민복지실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91쪽입니다. 중간 부분에 노인돌봄 종합서비스사업 일부가 노인돌봄갱신대상자 의사소견서 발급비 지원으로 15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92쪽입니다. 상단에서 네 번째 칸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 7명 처우개선비 14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92쪽 하단에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는 금왕청소년문화의집에 기초생활수급자 자녀와 차상위자 자녀 4ㆍ5학년 40명에 대한 아카데미사업비로 1억 5,315만 2천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93쪽입니다. 중간 상단에 장애인거주시설 청소년 문화체험비는 장애인청소년 55명에 대한 문화체험비로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개인운영 장애인거주시설인 금왕 본대리 소재 새생명장애인의집 지원사업비로 4,15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장애인거주시설 퇴소자 자립정착금은 1인당 300만 원씩 지원하는 건데 8명분 2,400만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하단에 장애인복지관 운영 지원은 인건비로 3,272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94쪽 청소년수련시설인 청소년문화의집 지도자 인건비로 1,872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주민복지실 소관 수정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할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주민복지실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홍보과 소관 수정예산에 대하여 문화홍보과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기타보상금으로 문화관광해설사 활동비 1,4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 및 물품 취득비로 해설용 휴대용 마이크 구입에 8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할 위원님이 안 계시면 본 위원장이 간단하게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우리 각 부서에서 자꾸 예산을 먼저 세워놓고 사업을 거기에 맞추려고 하는데 그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 모든 사업은 계획을 먼저 세워서 계획에 따라서 거기에 맞게 예산을 세워야지 일단 세원만 먼저 만들어 놓고 거기에 사업을 끼워 맞추는 식으로 하니까 졸속으로 사업이 되는 것 아닙니까. 그런 것 좀 지양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재무과 소관 수정예산에 대하여 재무과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101쪽입니다. 대소면 청사 신축공사비를 위해서 20억을 반영했습니다. 시설비에 19억 6,220만 원, 감리비에 3,060만 원, 시설부대비에 72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입니다.
이상정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대소 청사 담당 부서장님이 누구십니까?
다음은 농정과 소관 수정예산에 대하여 농정과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산 설명자료 105쪽입니다. 친환경농업 직불제 군비 지원사업입니다. 친환경직불금 지급 횟수가 초과되어 직불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관내 친환경 농가 90여 호에 대하여 신규로 군비 직불금을 3,3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친환경 잡초관리 피복재 지원사업입니다. 친환경 실천 농가에 잡초관리 피복재 지원사업으로 도 변경내시에 의거 6.9㏊ 물량 200만 원이 증액된 2,35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농작업 안전사용 장비 지원사업입니다. 당초 친환경농자재 살포기 공급 지원사업에 민간자본사업보조에서 지원사업비를 전액 감액하고 예산 과목을 재료비로, 사업명을 농작업 안전사용 장비 지원으로 정정하여 농가에 지원하고자 2,995만 3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106쪽입니다. 유기농특화 품목 육성사업입니다. 도 추가내시에 의거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유통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작목반이나 영농조합법인에 지원하고자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원예 에너지 이용 효율화사업입니다. 화훼농가에 다겹보온커튼으로 도 변경내시에 의거 11만 2천 원이 증액된 2억 4,775만 원으로 계상했습니다. 시설원예 품질개선사업입니다. 시설원예 농가의 시설현대화로 품질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도 변경내시에 의거 60만 원이 증액된 3억 5,500만 원으로 계상했습니다.
107쪽입니다. 과수유통시설 설비 지원사업입니다. 복숭아 생산량이 증대됨에 따라 기존 햇사레유통센터에서 반입물량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재 복숭아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소이면 내에 복숭아 선별장 및 저온저장고를 설치하여 감곡면 중심의 산지유통체계에서 소이면까지 유통시설을 확대함으로써 현 신천리 소재 햇사레유통센터의 위생시설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햇사레복숭아의 상품성 제고 및 명품화로 농가 소득을 증대하고자 사업비 6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정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산림축산과 소관 수정예산에 대하여 산림축산과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111쪽입니다. 축산물 HACCP 컨설팅 지원사업으로 세목이 변경되어서 기타보상금에서 민간경상보조사업비로 과목을 변경하였습니다. 다음은 가공업 등 축산물 HACCP 컨설팅 지원사업입니다. 이것도 위에 보고한 것과 같이 기타보상금에서 뒷장 112쪽입니다, 민간경상사업보조로 1,400만 원을 과목변경하였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칩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할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산림축산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환경위생과 소관 수정예산안에 대해서 환경위생과장님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환경위생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설교통과 소관 수정예산에 대해서 건설교통과장님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윤창규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할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건설교통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건축과 소관 수정예산에 대해서 도시건축과장님께서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위원장이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127쪽 하단에 금왕읍 중로1-4 무극택지에서 한마음선원 도시계획도로 지정 연월일은 이게 언제 됐습니까?
다음은 산업개발과 소관 수정예산안에 대해서 산업개발과장님께서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산업개발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소 소관 수정예산안에 대해서 보건소장님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보건소 2015년도 수정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할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보건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업기술센터 소관 수정예산안에 대하여 농업기술센터소장님께서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업기술센터 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동안 예산 심사에 성실히 임해주신 부군수님과 실과소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심도 있는 예산 심사를 위해 노력해주신 위원님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예산안 심사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15일 월요일 9시에 이 자리에서 계수조정을 하고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6차 회의는 계수조정을 마치는 대로 개최하겠습니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면 오늘 회의를 모두 마치고자 합니다.
다른 의견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산회를 선포합니다.
(14시30분 산회)
한동완 위원 우성수 위원
이상정 위원 조천희 위원
이대웅 위원 윤창규 위원
김윤희 위원
○위원아닌의원
의장남궁유
○출석전문위원
전문위원권오섭
전문위원윤석락
○출석공무원
부군수이학재
기획감사실장한동희
주민복지실장김석중
문화홍보과장조남설
재무과장최인식
농정과장남택용
산림축산과장김상만
환경위생과장문근식
건설교통과장장재덕
도시건축과장이병호
보건소장김홍범
농업기술센터소장최창묵
수도사업소장김길수
시설관리사업소장이원호
○회의록서명
위원장한동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