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0회 음성군의회(제2차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록
제4호
음성군의회사무과
2011년 12월 13일(화) 10시 01분
□의사일정(제4차 회의)
1. 2012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심사된안건
1. 2012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가. 산림축산과
나. 환경위생과
(10시01분 개의)
1. 2012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10시01분)
오늘은 산림축산과, 환경위생과 순으로 예산심사를 하고자 합니다.
먼저 산림축산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산림축산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산림축산과
32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산림축산과 총 예산은 105억 4,107만 9천원으로 전년도 103억 3,664만 6천원보다 2억 443만 3천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먼저 가로수 조성관리를 위해서 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로수 조성 예산은 광특회계 예산으로 국비 50%, 군비 50%로서 원남에서 소이까지 국도 36호선에 이팝나무와 신천교차로에서 신천4거리까지 배롱나무를 식재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숲길조사관리인부임으로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비로 1,362만 5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22페이지입니다. 행사재료비 보상금으로 숲길조사관리원 1명에 대해 산림청에서 실시하는 교육훈련비 35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조림사업으로 조림사업 재료구입비 5백만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으며, 2012년도 조림사업 130㏊ 사업비 3억 6,014만 2천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감리비로 1,976만 2천원을 반영하였고, 조림사업 시설부대비로 330만 3천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3페이지입니다. 경제수림에 대하여 정리작업비 122㏊에 5,6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바이오 조림사업으로 금왕읍 백야리 산13번지 휴양림 주변에 헛개나무 등 약용수 1㏊에 78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2012년도 숲가꾸기사업은 720㏊로 시설비 7억 1,940만 1천원과 감리비 4,658만 2천원, 그리고 시설부대비로 485만 9천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산림바이오매스 수집입니다. 산물원목을 수집하는 산림바이오매스 수집단 운영을 위하여 인건비 2억 5,358만 1천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4페이지입니다. 산림바이오매스 수집단에 필요한 유류대, 수선비 등 부대비 2,299만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으며, 산림바이오매스 수집 활용 교육훈련비로 76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숲가꾸기사업 조사단 운영으로 숲가꾸기 자원조사단 인부임 3,230만 5천원을 반영하였으며, 피복비로 70만 1천원과 교육비 70만 1천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5페이지입니다. 임업기계장비 구입비로 소형케이블윈치 2대 1,6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나라꽃 무궁화 육성 및 조성지 관리로 무궁화 품평회 준비와 관련하여 재료비 1백만원을 반영하였으며, 반기문로 음성~소이 국도 36호선에 대하여 무궁화 전지비로 4백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도시녹지관리로 가로수, 노원, 공원 등의 유지관리를 위한 녹지관리원 인부임 1,327만 5천원을 반영하였으며, 피복비로 35만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6페이지 도시녹지관리원 교육훈련비로 35만원을 예산에 반영하였고, 산림서비스 등산로 정비로 시설비 5,946만원을 예산에 편성하였고, 등산로 정비 부대비 54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가로수 유지관리로 음성, 금왕, 생극 시내 일원의 은행나무 1,305본에 대하여 전지ㆍ전정 실시계획으로 2천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고, 음성~생극 구간에 식재하는 버즘나무 1,175본에 대하여 전지ㆍ전정 실시계획으로 3천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가로수 고사목 제거 및 교체비로 5백만원을 반영하였고, 생극~감곡에 심어진 꽃복숭아 2,600본에 대하여 비료를 주기 위하여 4백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원 및 가로화단 유지관리로서 반기문 마라톤 구간 풀베기 인부임 1,719만 6천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7페이지 수정산, 용담산, 백야도시숲 관리에 필요한 전기 및 수도료 720만원과 임업기계 유지보수비, 유류비로 350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공원 및 로원의 수목관리를 위하여 농약 비료 구입비 5백만원과 관리용 자재 구입비로 3백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으며, 노원 관리로 풀베기, 비료 주기 및 전지ㆍ전정으로 2,500만원과 수정산 용담산 등 유지관리비로 1,6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등산로 정비사업으로 수정산, 원통산, 함박산, 소용산, 큰산 등 5개소에 대하여 잡초제거 및 목계단 설치를 위하여 5천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꽃길 조성사업으로 꽃길 조성에 대한 재료비 5,161만원과 아름다운 마을 조성 우수 읍면에 대한 포상금으로 120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8페이지 반기문마라톤 구간 중 생극~감곡 원당 구간 2km에 대해서 방부목 화단을 조성하고자 2천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군유림 가꾸기 사무관리비로서 공유림 교환 임야 감정수수료 1,800만원과 사유림 교환 임야 등기수수료 88만 2천원, 불법산지전용 측량수수료 270만원, 소이면 중동리 군유림 매목조사 및 임목감정 수수료 54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군유림 무단사용 방지안내판 설치비 1,25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양묘장 유지관리를 위하여 인건비 1,934만 6천원과 전기시설부담금 등 공공운영비로 420만원을 계상하였고 농약 및 비료구입비 등 재료비 64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양묘장 관수시설에 2백만원, 양묘장 관리사 및 컨테이너 창고 구입비에 4백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29페이지 마을 정자 쉼터 조성관리입니다. 시설비로 마을 정자 쉼터 조성 및 쉼터 시설물 보수공사를 위해서 6,6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음성ㆍ금왕 꽃묘장 운영인부임 6,190만 4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꽃묘장 운영에 따른 제수용비 108만원과 비닐하우스 난방연료비와 시설ㆍ장비유지비로 1,050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녹색복지공간 조성사업으로 음성읍 읍내리 음성 향애원에 대하여 녹색기금 8천만원을 시설비 및 시설부대비로 계상하였으며 집중호우시 발생하는 산림 재해지 응급 복구를 위한 장비임차료로 66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30페이지입니다. 금왕읍 백야리 자연휴양림에 무궁화동산을 조성하고자 8천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금왕읍 백야리 휴양림 주변에 지방수목원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비 3억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산림경영기반 지원사업으로 밤작업로 시설지원사업비 8백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31페이지입니다. 밤잣생산장비 지원사업은 밤 세척기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백만원을 반영하였으며, 대추 생산기반조성사업은 대추 비가림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208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임산물 가공지원사업은 밤 깎는 기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백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32페이지입니다. 펠릿보일러 보급 1억 340만원과 임도시설 신설과 구조 개량, 보수 등 시설비로 10억 431만원과 감리비 1,706만원, 임도시설 부대비 638만 8천원과 임도관리원 인건비 및 피복비로 2,34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33페이지입니다. 산림행사에 필요한 홍보물 제작비 72만원과 기타 용품구입비로 50만원, 육림의 날 행사 참가자 급식비 54만원, 식목일 행사 참가자 급식비로 135만원을 계상하였고, 나무 나누어 주기 행사용 수목구입비 9백만원을 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임도 시설 관리를 위해 임도시설 유지관리용 굴삭기 임차료 1,800만원과 산림장비 유류대 4백만원과 산림장비 유지비 1백만원을 계상하고, 환경친화적인 임도 가꾸기 재료구입비 370만원과 행사실비보상금으로 임도 민간모니터링 운영비 1백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34페이지입니다. 임도보수사업을 위하여 시설비 3천만원과 10년 주기로 작성되는 산림경영계획 작성을 위한 시설비 2,56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친환경 임목벌채 시 목재 자원 수집을 위한 시설비 409만 8천원과 감리비 40만 2천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사방사업과 관련하여 시공부담금 1억 8,472만 7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35페이지 산불방지대책으로 산불전문예방진화대 근무복 1,600만원과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인부임 2억 2,500만원, 산불전문예방진화대 보험료 2,832만 5천원,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조장수당 1백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사무관리비로 산불진화 급식비 470만원, 개인산불진화장비 구입비로 4,300만원을, 그리고 공공운영비로 감시원 위취관리시스템 통신료 572만원을 예산에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36페이지입니다. 재료비로 진화차량 소화약제 구입 45만원, 그리고 시설비로 산불 무인감시카메라 유지보수비 5백만원을 계상편성하였고,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무인방송기기 구입비 1,400만원을 계상하였고, 기계화 산불진화시스템 청소기 구입비 1,05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산불감시원 인부임 2억 5,922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37페이지입니다. 산불방지대책을 위한 군비 예산입니다. 산불방지대책 사무관리비로 산불감시원 모자, 차량용 깃발 등 소모품과 급식비 등으로 2,553만원을 계상하였고, 공공운영비로 무전기 관련 공공요금 408만원과 산불 무인감시시스템 전기요금 192만원 등 총 1,589만 6천원을 계상하였고, 재료비로 산불진화장비 구입 1,01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38페이지입니다. 행사실비보상금으로 산불진화훈련 및 교육참석자 급식비 108만원, 기타보상금으로 산불지상감시원 순찰 유류대 2,400만원과 산불예방 우수공무원 포상금 25만원을 계상 편성하였고, 시설비로 산불 무인감시카메라 보수를 위하여 871만 7천원을 계상하였고, 산불대기실 이전을 위한 경비로 1천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산림병충해 방제를 위한 인부임과 피복비로 8,094만 9천원을 계상하였으며, 사무관리비로 작업용 장갑 구입비로 48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39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로 예찰방제단 유류비 지원을 위하여 160만원과 재료비로 참나무시들음병, 꽃매미 등 방제용 자재 구입비로 1,979만 8천원을 계상하였고, 소나무 재선충병 예찰조사원 인건비로 1,239만 5천원을, 그리고 보호수정비사업 시설비로 2,80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병해충 방제를 위한 사무관리비로 방제인부 장갑구입비로 25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0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로 해충방제 장비 유류대 및 산림장비 유지비 등으로 410만원을 편성하였고, 버즘나무 방패벌레 수간주사용 농약구입비 등 702만원을 재료비로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시설비로 고사목 및 피해 우려 수목 제거사업비로 2천만원, 보호수 관리를 위한 노거수 외과수술 실시설계비 38만 8천원, 노거수 외과수술 사업비 5백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산림휴양시설 조성 운영으로 봉학골 산림욕장 운영 인건비로 5,055만 5천원을, 그리고 사무관리비로 관리용 제수용비 화장실 용품 등 7종에 1,476만 8천원과 환경개선부담금 12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1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로 전기요금 및 시설ㆍ장비유지비 등으로 1,170만원을 계상하였고, 재료비로 비료 및 농약구입비 50만원과 민간위탁금으로 무인경비시스템 24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으며, 시설비로 시설물 설치 및 보수를 위해서 2천만원과 돌망태 골막이 설치사업을 위해 7백만원,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광풍기 구입비 8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수레의산 자연휴양림 운영을 위한 휴양림 관리인부임 인건비 3,868만 9천원과 사무관리비로 6,235만 9천원을 계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2페이지입니다. 공공운영비로 유지보수비 등과 공공요금으로 7,043만 7천원을 계상하였으며, 재료비로 비료 및 농약구입비 8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3페이지입니다. 시설비로 사무실과 숙박동 20개소 비가림 시설 설치공사 6백만원, 노후화된 콘크리트 보수비 5백만원, 사무실과 숙박동 20개소의 오일 스테인 공사 2,500만원, 에어콤프레셔 설치공사 5백만원, 인공폭포 보수공사로 1천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20kg짜리 세탁기 구입 1천만원과 이용객 휴식공간 안마기 구입비 15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청소년수련원 운영으로 청소년수련원 관리인부임 3,095만 2천원과 사무관리비로 일숙직비 2,627만원, 행정장비 소모품 구입 111만 6천원, 청소년수련원 홍보물 제작 550만원, 장비임차료 440만원과 수련 활동용품 구입비 4백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4페이지입니다. 사무관리비로 수련원 시설 보건관리비 517만 5천원과 공공운영비로 행정장비 유지보수비 52만 7천원과 수련원 전기요금 및 전화요금 3,324만원, 수련원 손해배상 보험료 5백만원, 수련원 장기수선 유지보수비 1,395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재료비는 종자 및 비료, 농약 구입비로 1백만원, 자산취득비로 강의실 및 휴게실 테이블 및 의자구입비로 1,980만원, 이동식 조명기구 구입비로 4백만원, 대강당 앰프 교체비로 1천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백야자연휴양림 운영으로 관리인부임 4,827만 5천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5페이지 일반운영비로 사무관리비 일숙직비, 관리 제수용비, 장비임차료 행정장비 소모품 구입비로 6,722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공공운영비로 행정장비 유지보수비 65만 7천원, 공공요금 5,496만원과 예취기 및 오토바이 연료비 150만원, 휴양림 유지보수비 1,260만원을 계상편성하였고, 재료비로 비료 및 농약구입비 1백만원, 시설비로 암반관정 개발에 6천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6페이지입니다. 또한, 시설비로 숙박동 주차공간 포장 및 난간 설치공사로 3천만원, 축구장 정비공사로 2,50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으며, 숲해설가 운영에 숲해설가 인부임 1,397만 6천원, 숲생태관리인 운영으로 숲생태관리 인부임 1,397만 5천원, 사회서비스분야 인력경비로 공익근무요원 인건비 610만 5천원, 생태공예학교 운영 인부임 1,397만 6천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7페이지입니다. 생태공예학교 운영 재료구입비로 602만 4천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축산경쟁력 강화로 액비살포기 지원에 2,340만원과 액비저장조 설치 5,44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48페이지입니다. 축산분뇨 개별처리시설 설치사업비로 9,800만원과 청풍명월 일류브랜드 육성사업비로 1,422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송아지 생산안정제 지원사업으로 1,440만원을, 친환경 축산시설ㆍ장비 보급을 위해 1억 7,75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가축분뇨 처리 스키드로다 보급을 위하여 3천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49페이지입니다. 육우거세 장려금으로 2,460만원과 고능력 돼지 액상 정액 공급비로 3,750만원, 낙농헬퍼 지원사업비 1,2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가축 공제지원사업비로 2,4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0페이지입니다. 친환경 축산물 인증을 위한 인증사업비 1,620만원과 가축생균제 지원사업비 6,600만원을 계상하였고, 양질의 조사료 생산을 위해 사료작물 재배단지 조성비로 9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고품질 축산 생산을 위해 친환경 무항생제 사육보급비로 2,256만원을 계상하였고, 양봉화분 사료공급을 위해 6,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1페이지입니다. 친환경 축산농가 전문지식습득을 위해 신기술 정보지 구독료 1,224만원을 계상하였으며, 한우혈통등록비 88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축산정책 홍보 및 운영을 위해 사무관리비로 770만원을, 그리고 양축농가 교육급식비 등으로 232만 5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사일리지 제조비 지원을 위해 6억 3,377만 1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2페이지입니다. 민간자본 보조로 조사료경영체 장비지원비로 6,500만원과 사료작물 종자ㆍ볏짚처리비 2억 1,072만 3천원을 계상하였으며 조사료 사일리지 제조 시 필요한 사일리지 발효제 지원으로 660만원을 계상하였고, 낚시터 환경개선사업비로 1,50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53페이지입니다. TMR 사료공장 포장재 지원으로 3,234만원을, 또한 소규모 번식농가 암소개량 지원사업비 2,728만원을, 양봉농가 육성 지원을 위하여 양봉 우수벌꿀 보급사업비로 5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4페이지입니다. 젖소능력검정에서 기타보상금으로 3,250만원과 고능력 우수사슴 정액 공급 사업비로 36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꿀벌 벌집 공급사업비로 2,48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양계, 오리축사의 친환경 에너지 효율화 사업비로 8,400만원을 계상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55페이지입니다. 가축질병 및 사전예방을 위해서 축사 내부 연무소독시설 설치사업비로 44개소에 7,920만원과 염소농가 임산부산물 파쇄기 공급지원사업비로 420만원, 옥수수 수확장비 공급 1억 8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액비지중 살포기 공급사업으로 2,8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양어장 조성 및 치어 생산을 위해서 토종 붕어 종묘 보급 및 생산 방류 사업비로 2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6페이지입니다. 내수농업 분야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양식어업인 수산약품 및 양식장비 지원사업비로 16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가축방역 및 예방사업입니다. 먼저 공동방제단 운영비입니다.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에 따라 음성축협에서 운영하는 공동방제단 운영비 3,760만원과 공동방제단 소독약품 구입비 3,952만 8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7페이지입니다. 차상위계층 초중고학생에 대한 학교우유 급식비 1억 3,744만 5천원을 계상 편성하였으며, 돼지 소모성 질환 지도 사업비로 1농가에 6백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소에 대한 가축전염병 예방접종을 실시한 시술자에게 지급하는 예방접종 시술비 2천만원과 소부르셀라병 채혈보정비 6,79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가축예방주사 및 기생충 구제사업비 2억 3,559만 8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8페이지입니다. 돼지 서코바이러스 백신 지원사업비로 1억 3,368만원과 구제역 백신지원사업비 2억 2,8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쇠고기 이력 추적제 6,750만원, 젖소 번식 장애 컨설팅비 1,440만원, 청정 축산지역 소독약품 구입비 2,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59페이지입니다. 다기능 면역기능 강화를 위해서 전염병 F낭병 예방백신 지원에 5천만원을, 돼지 유행성 설사병 예방백신 지원에 2,400만원,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소독약품 구입에 5,3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중방역수의사 피복비 60만원과 관사 유지관리 등 공공운영비로 62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전염병 발생축 위탁처리비 2,2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60페이지입니다. 유기동물 보호 및 조치를 위해서 위탁 사육 경비 5백만원과 방역유통 사업 홍보 및 운영을 위해서 각종 홍보물 제작 등 일반운영비로 720만원을 계상하였고, 우수축산물 브랜드 홍보를 위해서 1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구제역 및 AI 발생을 대비하여 초소 운영비로 4,399만 2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자본보조사업으로 삼성면 상곡1리 다목적생활관 건립비로 2억 1,600만원을 예산에 반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61페이지입니다. 각 읍면 전염병 예찰 및 질병 예방을 위한 공수의사 방역활동비 지원으로 5,04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신속한 방역활동을 위한 기동력 확보를 위해 가축방역 차량 1대, 소독장비 1대 구입에 4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축산농가 자체 방역을 위한 농장 출입 자동 소독기 지원으로 3,6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닭 종계 종합 백신 구입 2,394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62페이지입니다. 꿀벌 낭충봉아 부패병 방지를 위해서 660만원과 가축전염병 발생 시 축산 농가에 지원되는 살처분보상금 4,90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폐사된 소 처리비용 2,200만원과 구제역 예방접종 스트레스 완화제 구입비 3,729만원, 조류인플루엔자 면역 증강제 5,800만원을 계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63페이지입니다. 구제역 매몰지 관리로 매몰지 52개소 민간위탁 관리를 위한 용역비용으로 1억 3,868만 2천원과 부대비로 99만 9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젖소 유방 살균세척사업비 2,64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공중방역수의사 방역활동 장려금 등 인건비로 1,864만 6천원과 산불방지대책 인건비로 2,7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64페이지입니다. 산림 병해충방제 예찰조사원 인건비 2,500만원과 산림축산과 기본경비에 일반운영비 1,915만 8천원과 여비 228만원을 계상했습니다.
365페이지입니다. 다기능사무기기 대체구입비로 39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산림축산과 2012년도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예」하는 위원 있음)
부군수님 업무 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자리를 비우셔도 좋습니다.
설명을 들으시고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손수종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손달섭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대웅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아니 계시므로 산림축산과장님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원활한 회의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하고자 합니다.
회의는 11시 10분에 속개하기로 하고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58분 회의중지)
(11시10분 계속개의)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환경위생과 소관 예산에 대하여 환경위생과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 환경위생과
일반회계는 전년도 예산보다 9억 9,231만 9천원이 증액한 173억 6,878만 9천원을 계상했습니다. 환경보전 및 개선사업으로서는 환경개선부담금 시설물 조사원 기간제 인건비로 2,027만 1천원을 계상하였고, 사무관리비는 1,023만원, 공공운영비 1,631만 6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대체물품 구입비로 프린터 1대 1백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연보호활동입니다. 국토대청결운동에 따른 사무관리비로 58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66페이지가 되겠습니다. 환경정책의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한 환경관리 업무추진여비로 1,232만원, 시책추진활동비로 8백만원을 계상하였고, 자연보호 음성군협의회 지도위원 워크숍 참석자 보상으로 180만원, 또 국토대청결운동 참여 민간인에 대한 간식비로 27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맑고 푸른 음성 21사업입니다. 맑고 푸른 음성 21 홍보물 제작에 621만원을 계상하였고, 지방의제21 전국협의회 연간 회비로 2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환경보전행사입니다. 환경보전 민간인 유공자 및 단체에 대한 보상금과 유공공무원에 대한 포상금으로 115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연환경 조성시설입니다. 원남지, 금정지에 대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로 1,547만 6천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67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육령지와 원남지, 금정지가 위치한 생태공원 유지관리비로 3백만원을 계상하였고, 재료비로 3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음성군에서 설치한 환경친화교실 운영 및 견학장소로 활용하고 있는 금왕 생태공원 조성 유지관리사업은 음성군 자연보호협의회에서 위탁 관리하고 있으며, 여기에 따른 보조금으로 1,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환경기술개발센터 운영지원사업입니다. 환경부의 승인을 득하고 환경부와 충청북도 각시군의 출연금으로 운영하고 있는 충주지역 환경기술개발센터에 2천만원을 출연금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탄소 녹색성장입니다.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추진 홍보물 제작에 526만 5천원을 계상하였고, 또 우수기업 현판제작에 90만원, 친환경상품 구매율 제고에 따른 우수부서 시상에 1백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저녹스버너 설치사업입니다. 영세 중소사업장 15개소에 대해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서 1억 7,78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68페이지가 되겠습니다. 기후변화대응사업입니다. 저탄소녹색성장 실천 기반조성을 위해서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1,200만원, 이것은 국비 6백만원, 군비 6백만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탄소포인트제 추진운영은 저희가 4천 세대를 목표로 해서 국비 9백만원, 군비 9백만원으로 1,8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야생동물 보호사업입니다. 야생동물 구조센터가 2008년도 1월 8일에 준공됐는데 지금 지붕이 새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설비 3천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생활환경개선사업입니다. 「석면 피해구제법」이 내년도 1월 1일 시행됩니다. 그래서 여기에 도비 130만원과 군비 5백만원으로 해서 630만원을 계상했는데 이것은 석면 피해 관련 질환자에 대해서 보상을 해 주는 겁니다.
다음은 369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대소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고도처리사업에 75억 9,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것은 100% 국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순환수렵장 운영입니다. 건전한 수렵활동과 야생동물을 적절한 개체수로 줄이기 위해서 3년 주기로 운영하며, 이에 따라서 기간제 근로자 인부임 7,074만 9천원, 총기거치대 6개소 제작에 960만원, 또 농축산물 및 인명 피해에 따른 보상금 2천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단폐수처리시설 하이텍산단시설입니다. 여기는 내년부터 고도화처리시설에 의해서 국비 1억과 군비 4,300만원, 총 1억 4,3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환경오염 지도단속입니다. 소음측정장비에 따른 정도 검사 실시에 45만원을, 또 오염배출업소 야간지도 특근 급식비에 1백만원을 계상하였고, 지도점검에 따른 단속요원 피복비 14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토양오염도 검사 측정 수수료로 160만원을 계상하였고, 다음은 37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환경관련 팸플렛 홍보물제작비로 4백만원, 또 방제장비 임차료에 5백만원, 환경오염 측정장비 유지비에 50만원, 매연단속 비디오 영상유지비에 1백만원, 환경지도 업무추진여비 1,311만원, 또 시료채취병 환경오염물질 측정장비 재료 구입에 434만원을 계상하였고, 환경오염 신고자 보상금 1백 명에 총 3백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단속용 디지털카메라 2대 구입비 1백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7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현지확인 여비로 206만원을 계상하였고, 야생동물 먹이주기 행사로 해서 사료구입비 90만원, 밀렵단속 지원을 위한 야생동물보호협회 등 민간인 간식비로 1백만원을 계상하였고, 야생동물 밀렵신고자에 대한 포상금과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보상금으로 3,8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유해야생동물 포획입니다. 야생동식물 보호 및 홍보물 제작 배포로 3백만원을 계상하였고, 멧돼지, 고라니, 까치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조수를 잡기 위해서 피해방지단 4개 단체 보험료 4백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보조금을 지급하여 설치 중인 전기울타리 방지망 서프라이징 배선 시설비로 총 2,135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72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불법폐기물 지도단속 및 자원재활용을 통하여 쾌적하고 깨끗한 거리환경 조성을 위해서 종량제 규격봉투 제작비 1억 2,790만원, 또 지도단속 홍보를 위해서 현수막 제작비 450만원, 경고판에 270만원, 방치폐기물 처리 및 불법 매립 단속 시 필요한 장비임차료 720만원, 또 불법투기 신고포상금으로 3백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계속해서 만성적인 불법투기 근절 및 증거물 지도단속에 있어서 차량용 감시카메라 10대에 75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단속 업무로 활용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 구입비 5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재활용품 자원화를 통하여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분리수거 실천으로 재활용 수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용수거대 제작비에 2,250만원, 재활용품 포대구입비 350만원, 재활용품 수집장려금 1,500만원, 폐형광등 분리수거함 제작비 1,225만원 등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청소대행 민간위탁금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청소대행 민간위탁금 30억 7,536만원, 사업비는 청소대행 협약서 제6조제2항에 의거 전년도 대행료 26억 플러스 전년도 물가상승률을 최대 5%를 적용해서 산출했습니다. 다음은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관리 예산은 신ㆍ구 매립장 관리 및 운영에 소요되는 예산으로 40억 555만 7천원을 계상했고, 2011년도 예산은 25억 7,483만 2천원입니다. 2011년 대비 14억 3,072만 5천원이 증액되었으며, 증액된 주 예산은 오수침투 방지시설 정비 및 배수로에 들어가는 시설로서 본예산에 1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7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농촌 폐비닐 수거보상금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2012년도 농촌 폐비닐 수거 보상금 인센티브로 국비 1,080만원은 환경공단에서 ㎏당 10원씩 장려금을 지원하여 2012년도부터는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 국가에서 지자체에 이관된 업무가 되겠습니다. 즉 ㎏당 1백원씩 시군에서 지원하는 장려금과 국비 지원 인센티브를 합쳐서 ㎏당 110원씩 지원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375페이지 폐슬레이트 처리비 지원사업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폐슬레이트는 주택에 대해서 처리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서 국비가 240만원, 도비가 80만원, 군비가 160만원 해서 총 480만원을 계상하여 1동당 처리비는 2백만원 정도 소요됩니다. 이에 국비가 60만원, 도비가 20만원, 군비가 40만원, 자부담 80만원으로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이 적지만 추후에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겠습니다. 또 현 매립장 주변마을 주민지원사업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조촌2리 농로포장공사 시설비 1억 3천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이곳은 조촌2리가 사실상 조촌2리의 80%를 삼용리 주민들이 농사를 짓고 있는데 농로가 포장이 안 돼서 민원을 수차례 제기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청정 수질관리사업이 되겠습니다. 정화조 청소 미이행 과태료처분 우편발송료 등에 1,058만원을 계상하였고, 수질관리에 따른 여비 1,300만원과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관리에 따른 법률」 제26조에 의거 준권역권 미호천 물환경관리권역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실행계획인 금강수계 소권역 물환경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연구용역비 3천만원을 계상하였고, 기존 디지털카메라 노후로 인한 대체구입비 1백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376페이지 개인 하수 처리시설의 수질검사용 채수병 구입 5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분뇨영업자 징수교부금으로 3백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공중화장실 관리입니다. 공중화장실 용품과 화장실협회비 41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또 생태하천 복원사업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자 주민들의 휴식공간인 응천하천을 정화하고자 기간제근로자 인건비로 644만 9천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위생업소 관리입니다. 공중업소의 안전관리 및 위생업소 관리로 위생업소 민원서식 및 식품안전관리 홍보물 제작비에 270만원, 위생업무 추진여비로 1,083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또 사무관리비로 위생업소 제품 수거 용기 구입, 심야 퇴ㆍ변태업소 점검에 따른 급식비 279만원을 계상하였고, 기타보상금으로 소비자 위생감시원 활동비, 제품수거 검사용 물품보상금, 퇴ㆍ변태업소 및 부정ㆍ불량식품 신고자 보상금으로 1,042만원을 계상했습니다.
377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모범업소 육성관리입니다. 사무관리비로 모범음식점 쓰레기봉투 구입과 상패 제작, 상장 표지 제작해서 553만 2천원을 계상했습니다. 일반보상금으로 향토음식경연대회 참가업소에 대해서 240만원, 모범음식점 상수도요금 지원으로 2,100만원, 향토음식경연대회 행사보조금 3천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소비자감시단 운영으로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관리 운영 활동에 대한 보상금으로 도비, 군비해서 4백만원을 계상했습니다.
378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식품안전감시 및 대응입니다. 통신비 111만 2천원과 활동여비 3백만원, 제품 수거에 대한 보상금으로 1백만원, 시니어감시단 활동비 24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행정운영경비 공통사항은 생략하겠습니다.
379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노후화된 모니터 등을 교체하기 위해서 자산취득비로 94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신 매립장 주민지원기금 전출금으로 10억, 수질개선특별회계 전출금 2억 4,630만원, 지하수관리특별회계 전출금에 1억 6,526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야생동물구조센터 위탁시설비 반환금 3억원을 계상했습니다.
이상으로 일반회계 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지하수특별회계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78페이지입니다. 지하수관리 특별회계 세입부분은 내년부터는 지하수 이용부담금에 3억 5천만원 예산을 세웠는데 새로 지하수법이 바뀌는 바람에 이것을 징수해야 합니다. 또 일반회계 전입금 1억 6,526만원 해서 5억 1,526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387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지하수특별회계 세출부분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지하수 이용부담금 사업과 관련해서 인건비 1,569만원, 일반운영비 6,015만원, 검침수당 3,600만원, 자산취득비 1,165만원 등 1억 2,35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지하수 이용 부담금은 지하수의 효율적 관리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하수 이용자 971명에 이용부담금을 부과할 예정이며, 지하수 이용부담금 부과사업과 관련해서 사용될 예정입니다.
다음은 지하수 오염방지사업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음성군 지하수관리계획 수립용역비 3억 5천만원과 지하수 보조관측망 유지 관련 일반운영비 1,676만원, 보조관측망 보수비 1천만원, 지하수관리계획 수립 시 발견될 폐방치공에 대한 원상복구비 1,500만원 등 3억 9,176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음성군 지하수관리계획은 친환경적인 보존관리체계 구축을 위하여 「지하수법」제6조 및 2009년도 충청북도 지하수 관리계획에 의해서 시행되는 용역으로서 지하수 이용부담금 징수금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지하수특별회계 세출예산에 대해서 설명을 마치고 수질개선특별회계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9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수질개선특별회계 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2012년도 분뇨처리시설 개선사업비 3억 3,300만원 중 군비부담금 일반회계 전입금이 4,630만원, 국고보조금이 1억 6,700만원, 기금이 1억 4백만원, 도비보조금 1,67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395페이지 세출부분입니다. 분뇨처리시설 음성, 금왕 개선사업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분뇨처리시설 노후에 따른 처리 효율 저하 및 2012년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방류수 수질기능 강화로 분뇨처리시설 개선에 필요한 사업으로 공기관 등에 대한 대행사업비 3억 3,40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여기에는 국비가 1억 6,700만원, 도비가 1,600만원, 군비가 4,600만원, 기금 1억 4백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여기에는 국비가 50%, 도비, 군비가 각각 5%, 기금이 40%가 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397페이지가 되겠습니다. 광역폐기물 종합처리시설 주민지원기금으로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시행령」 제21조에 의거 광역폐기물 처리시설 주변영향지역 주민복리증진과 소득증대 사업을 지원하는 기금으로 기금조성현황은 2011년 말 현재 1억 7,590만 2천원과 2012년도 수입지출액은 31억 9,525만 6천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398페이지입니다. 수입계획은 전년수입 20억 1,726만원에서 10억 209만 4천원이 증가한 30억 1,935만 4천원이고, 지출계획으로 31억 9,526만 5천원 중 30억 2,001만 1천원을 출연금과 환경감시원 급여 및 4대 보험료, 그리고 주민협의체 참석 수당 및 급식비로 계상했습니다. 잔액 1억 7,520만원을 예치토록 하고, 2011년도 비교 지출금액 10억 208만 4천원이 증가한 주원인은 기금조성계획에 의거 2011년도 출연금 20억원, 2012년도 30억원으로 2011년 대비 출연금 10억원이 증가한 주원인이 되겠습니다. 수입계획과 지출계획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40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2008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총 110억의 출연금을 조성하여 이자수입 8,139만 6천원과 기타수입 850만원을 확보하여 총 110억 8,980만원의 기금이 조성되었습니다.
다음은 403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예치금 및 예탁금 명세는 2010년도 말 1억 8,032만 3천원을 예치했고, 2011년도 말 1억 8,332만 3천원을 예치했고, 2012년도 말 1억 7,590만 2천원을 예치했습니다. 2012년 말에는 1억 7,524만원을 예치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405페이지 식품진흥기금이 되겠습니다. 「식품위생법」 제89조제3항에 대한 사업으로 식품위생 관련 행사 중 참여자 지원 및 부대경비를 지원하는 기금으로 기금조성현황은 2011년도 말 3억 9,424만원이고, 2012년도 수입액은 3,223만원이며, 지출은 4,200만원으로 잔액 3억 8,447만원을 예치토록 하겠습니다.
406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자금운용계획으로 전년도 예치에 따른 이자수입으로 1,223만원이 되겠으며, 과징금 수입으로 2천만원을 징수하고 예치금 3억 9,424만원을 회수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408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지출계획으로 4억 2,647만원 중 2천만원을 음식문화개선사업 홍보물 제작 및 모범업소 안내 홍보물 제작비로 계상하고, 음식축제 참가업소 지원, 지역특화 음식문화개선사업 발굴, 한국요식업체 음성군지회에 2,200만원을 지원하겠으며, 잔액 3억 8,447만원을 예치토록 하겠습니다.
409페이지에서 410페이지까지 연도별 기금조성은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41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예치금 및 예탁금은 2010년 말 4억 703만 8천원을 예치하여 2011년도 말 3억 9,424만원, 2012년도 말에는 3억 8,447만원을 예치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환경위생과 소관 2012년도 당초예산 설명을 마치고 끝까지 들어주신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전액 예산이 반영돼서 2012년도에는 살기 좋고 아름다운 음성건설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전 직원이 합심 노력할 것을 다짐 드리면서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손수종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조천희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대웅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손달섭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년짜리가 어디 있습니까? 건물에 대한 것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부분별로 다른 겁니다.
그러면 이게 남들이 볼 때는 그 업체 봐주기 식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겁니다. 오해를 합니다. 개인이 만약에 발주를 하는 공사 같으면 그렇게 절대 안 넘어갑니다. 뭘로 물어뜯어도 뜯어서 완벽하게 해서 넘겨주고 개인공사는 그렇게 하면 돈도 안 줍니다. 그러면 우리 행정기관에서 할 때는 공신력이 있는 보증보험하고 하는데, 그런 책임을 안 묻고 꼭 그것을 넘겨서 하고, 이것도 사실 건축물을 지은 지가 이제 몇 년이 됐다고 누수가 생겨서, 지금 전기가 어떻고 지붕이 어떻고 하는 것은 이것은 개인공사 주택을 이렇게 짓겠습니까? 꼭 문제가 되는 것이 경로당, 마을회관 이런 것이 꼭 문제가 됩니다. 돈은 돈대로 듭니다. 개인적인 살림 같으면 공사를 그렇게 시켰겠느냐고요.
또 공사가 잘못됐으면 지금까지 방관했겠느냐고요. 지금 환경위생과만 지적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을 보고 여러 가지 음성군 행정의 모든 돌아가는 것이 꼭 그렇게 남이 보기에 오해가 소지가 있을 만큼 재산관리를 그렇게 하더라, 군수님이나 부군수님이 계시면 한마디 지껄이겠는데 안 계시고, 또 실장님이야 말씀하시면 내년부터 잘하겠다고 할 테니 말하나 마나이고, 그게 문제가 있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아니 계시므로 환경위생과장님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계획된 예산안 심사를 모두 마쳤습니다.
내일 오전 10시에 이 자리에서 계속해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심사하고자 합니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면 오늘의 회의를 모두 마치고자 합니다.
위원 여러분! 다른 의견이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58분 산회)
손수종 위원 이한철 위원
남궁유 위원 조천희 위원
손달섭 위원 이대웅 위원
김순옥 위원
○위원아닌의원
의장 정태완
○출석전문위원
전문위원 최해룡
전문위원 권순갑
○출석공무원
부군수송인헌
기획감사실장서길석
산림축산과장송동주
환경위생과장남송우
○회의록서명
위원장남궁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