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1회 음성군의회(제2차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록
제4호
음성군의회사무과
2013년 12월 11일(수) 10시 05분
□의사일정(제4차 회의)
1. 2014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심사된안건
1. 2014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가. 도시건축과
나. 산업개발과
다. 안전총괄과
라. 보건소
(10시05분 개의)
1. 2014년도 세입ㆍ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10시05분)
오늘은 도시건축과, 산업개발과, 안전총괄과, 보건소 순으로 심사하고자 합니다.
그러면 먼저 도시건축과 소관 예산에 대해서 도시건축과장님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도시건축과
555쪽입니다. 일반회계는 전년도에 비해 25억 8,500만 원이 증액된 128억 4,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는 군 전체예산의 3.8%입니다. 과목별 세부내역으로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유지관리용역비 2천만 원과 도시계획팀 여비 1천만 원, 군기본 및 관리계획 용역비 총 25억 원 중에서 내년도 소요금액인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도시계획도로와 자전거도로 유지보수비 5억 원, 어린이놀이공원 유지보수비 3억 원, 시가지 인도정비사업 9억 원 등 총 1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에 보험료와 도시시설팀 여비, 다음은 556쪽에 시책업무추진비, 재료비 등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도시계획시설 미불용지보상금으로 5억 6,800만 원, 가로등 설치 및 유지보수비로 전기요금 9억 원을 포함해서 19억 원을 계상하였고, 계속사업인 도시공원 조성계획수립 용역비 5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부터는 군민들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고 위원님들께서는 제일 관심이 많은 소방도로 개설사업비가 되겠습니다. 저희가 예산부서에 150억 정도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확보되어야 한다고 그렇게 우겼습니다. 제가 무능해서 1백억 원은 날아가고 거지가 구걸하듯 푼돈 50억 원만 겨우 얻어왔습니다.
556쪽 하단부에서부터 557쪽 중간에 장기계속사업인 무극리 도시계획도로 중로 1-5 사업 5억 원을 포함해서 총 16개소에 41억 4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읍면별로는 음성읍에 3건에 9억 원, 금왕읍이 7건에 11억 8천만 원, 대소면이 2건에 7억 원, 삼성면이 1건에 5억 원, 생극면이 1건에 1억 6천만 원, 감곡면 2건에 7억 원입니다.
계속해서 557쪽 중간에 금왕 소재지 종합정비사업에 국비 13억 6,300만 원과 도비 1억 7,500만 원을 포함한 19억 4,700만 원을 반영하였고, 하단부에 자전거이용활성화 사업으로 도비 3천만 원을 포함한 1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58쪽입니다. 도비보조사업인 대소면 오산리 도시계획도로 사업에 도비 6천만 원을 포함한 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농촌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공동주택 가로등 전기요금 6천만 원과 시설물관리 보조금 1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하단부 건축행정 사무관리비 등 1억 4,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어서 559쪽입니다. 도시개발팀 여비 1천만 원과 도시건축과 행정운영경비로 일반운영비 2,700만 원, 부서운영 업무추진비 4백만 원, 자산취득비 130만 원 등 총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반회계는 설명을 마치고요, 특별회계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563쪽과 564쪽에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대지보상특별회계는 세입ㆍ세출 각각 과목존치로 1천 원씩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도시건축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산업개발과 소관 예산에 대해서 산업개발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산업개발과
567페이지 중간 부분에 상우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 설치사업에 따른 민간대행사업비로 1억 4,285만 7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생극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사업에서 진입도로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비로 2천만 원 계상하고요, 산업단지조성 업무추진 여비로 52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로 생극산업단지 공업용수도건설사업비 5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68페이지 살기좋은 농촌만들기에서 소규모주민숙원사업 일반운영비로 전체 1,197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로 35억 6,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업내용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573페이지 시설비에서 버스승강장 정비사업비로 신설 7개소, 정비 5개소 해서 6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소규모시설 유지보수비로 3억 원을 POOL로 계상했습니다. 시설부대비 1,081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밑에 민간자본이전에서 민간자본보조로 대소 수태2리 마을회관 보수 1,500만 원, 대소 삼호1리 마을회관 신축 7천만 원, 삼성 덕정10리 운동기구 설치 1,500만 원, 생극 신양2리 마을회관 보수 2천만 원, 감곡 오향4리 마을회관 화장실 보수 3천만 원해서 1억 5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소규모시설 지역개발사업 보조사업으로 총 10건에 3억을 계상하였습니다.
575페이지 소규모공공시설 개선사업 보조사업에 7건 2억 4,500만 원 계상했습니다. 광고물정비사업에서 불법광고물 정비 인부임으로 333만 5천 원 계상했습니다. 그리고 일반운영비에서 불법광고물 방지홍보물 제작비로 일반운영비 620만 원 계상했습니다.
576페이지 여비 672만 원과 시책추진업무추진비 8백만 원 각각 계상했습니다. 시설비에서 현수막 게시대 및 연립간판보수 사업비로 보수에 5백만 원, 게시대 설치에 3,500만 원 해서 4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그리고 불법광고물 부착방지판, 연립간판 설치해서 총 시설비로 7,600만 원 계상했습니다. 균형발전업무지원에서 한국지역진흥재단 출연금으로 5백만 원 계상했습니다. 광고물정비사업 보조사업으로 무연고 간판 정비사업비 1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혁신도시건설에서 혁신도시건설 행정지원 일반운영비로 홍보용 광고물제작, 혁신도시협의회 회비, 혁신도시 건설 관련한 행사운영비 해서 일반운영비로 1,340만 원 계상했습니다. 혁신도시건설 업무추진 여비로 3백만 원, 그리고 혁신도시관리본부 운영비로 자치단체 간 부담금 4,700만 원 계상했습니다.
577페이지 농업기반조성에서 밭기반정비사업 삼생지구 밭기반정비사업비 8억 5,160만 원 계상했고, 부대비로 540만 원 계상했습니다. 기계화경작로 확포장사업에서 시설비로 5억 9,054만 2천 원 계상하고, 부대비로 374만 4천 원 계상했습니다. 한발대비 용수개발 시설비로 1억 2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농업기반시설 운영에서 국유재산 측량 및 등기수수료, 탑상골양수장 전기안전관리 대행료, 그리고 양수장비정비 공공운영비 등 해서 일반운영비로 948만 원 계상했습니다. 농업기반 업무추진 여비 620만 원 계상하고, 민간경상보조금으로 읍면수리시설계 운영비 5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에서 일반운영비로 배수펌프장 전기안전관리 대행료, 배수펌프장 전기사용료와 전용회선사용료 해서 전체 일반운영비 3백만 원 계상했습니다. 민간이전에서 배수펌프장 무인경비시스템하고 유지관리 위탁비 해서 민간위탁금 1,080만 원 계상했습니다. 시설비에서 용배수로정비사업 18건 등 해서 6억 4,500만 원 계상하고, 부대비로 406만 4천 원 계상했습니다. 자치단체 등 자본이전에서 한국농어촌공사 음성지사가 시행하는 사업 15건에 대해서 5억 5,500만 원 계상했습니다. 사업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다음 580페이지 국유재산 실태조사 지원에서 측량수수료 2백만 원, 여비 133만 4천 원 각각 계상하고, 소규모수리시설 정비사업에서 시설비로 3억 3,300만 원 계상했습니다.
581페이지 재해위험저수지 정비사업에서 시설비로 4억 9,640만 원, 그리고 부대비로 360만 원 각각 계상했습니다. 농촌정주기반 확충에서 농촌생활환경정비 시설비로 4억 2,548만 5천 원, 부대비로 308만 6천 원 각각 계상했습니다. 농촌정주기반 확충 사업에서 시설비로 농촌생활환경정비 4억 2,857만 1천 원, 정주권 도로 유지보수비 3천만 원 계상하고, 미불용지 보상금에서 시설비로 2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문화마을 유지보수 시설비로 1천만 원 계상하고 읍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에서 맹동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비 29억 6천만 원으로 민간사업비로 계상했습니다. 대소면 소재지정비사업은 7억 2천만 원을 공기관 등에 대한 대행사업비로 계상했습니다.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에서 수레울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에 대행사업비로 10억 8,857만 1천 원 계상했습니다. 조촌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은 3억 1백만 원 계상했습니다.
다음페이지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국유재산 대부료에서 일반운영비로 1백만 원 계상하고, 원남테마공원 유지보수에서 인건비로 1,317만 9천 원, 운영비로 오수정화조 관리, 분뇨수거 수수료, 유지보수 작업도구 구입비, 그리고 원남테마공원에 전기요금, 상수도요금 해서 일반운영비 1,465만 원 계상했습니다. 시설비에서 제초작업 시설비 5천만 원, 그리고 시설 유지관리비 1억 원 해서 1억 5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농어촌공동체 활성화 지원에서 농어촌 현장포럼 운영 민간경상보조금 2,010만 원 계상하고, 시군역량 강화사업에서 일반운영비에서 공무원교육 위탁비 5백만 원과 시설비에서 5,928만 6천 원 각각 계상했습니다. 행정운영경비 산업개발과 기본경비로 2,581만 2천 원 계상하고, 업무추진비 420만 원, 자산취득비 190만 원 각각 계상했습니다.
이상으로 일반산업단지 설명을 마치고, 공영개발특별회계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594페이지 예산총괄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예산이 있고 자본예산이 있고 자금운용이 있습니다. 자금운용 총수입 계는 142억 8,902만 2천 원입니다. 그중에 순세계이월금이 128억 9,900만 원이고요, 지출에서는 똑같이 142억 8,902만 원 중에서 예비비로 113억 8,700만 원 계상돼 있습니다.
596페이지 사업예산총괄표 수익 전체 계는 13억 8,909만 8천 원이고, 지출비용 계는 7억 6,927만 5천 원입니다. 그래서 당기순이익은 6억 1,982만 3천 원이 되겠습니다.
사업예산 수입부분 설명드리겠습니다. 597페이지 총 사업수익금은 13억 8,909만 8천 원이고, 이 중에 영업수익에서 맹동산업단지 산업시설용지 분양 수입금으로 3억 3,673만 원 계상했습니다. 그리고 임대사업수익에서 맹동산업단지 임대료 수익 12개 업체분 3억 6,500만 원 계상하고, 기타영업수익에서 원남산업단지 보상위탁수수료 잔액 2억 3,663만 5천 원 계상했습니다. 영업외수익에서 예금이자 수익 4억 5천만 원, 공유재산 사용료 73만 원 각각 계상했습니다.
사업예산에서 지출부분 보고드리겠습니다. 598페이지 총 사업비용은 7억 6,927만 5천 원이고, 그중에 인건비로 3억 5,469만 9천 원 계상했습니다.
599페이지 직무수행경비로 1,830만 원, 그리고 일반운영비로 4,418만 5천 원 계상하고, 600페이지 여비로 2,310만 원, 업무추진비로 3백만 원, 그리고 601페이지 연금부담금 등으로 4,549만 1천 원 계상했습니다. 영업외비용에서 차입금이자상환으로 지난 2004년도에 맹동산업단지 조성을 위해서 차입해온 충청북도 지역개발기금 이자 2억 2,050만 원 이번에 상환하는 것으로 계상했습니다. 예비비는 6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다음 604페이지 자본예산총괄표 보고드리겠습니다. 전체 총 수익은 과목 전체로 5천만 원 계상돼 있고요, 비용총계는 135억 1,974만 7천 원 계상돼 있습니다.
605페이지 자본예산 수입은 과목존치부분이라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606페이지 자본예산지출부분 보고드리겠습니다. 자본적지출에서 시설비로 대소 삼정지구 도시개발사업 실시설계용역비 11억 원 계상하고, 부대비로 5백만 원 계상했습니다. 자산취득비에서 난방용 온풍기 1대에 2백만 원, 그리고 작업용 의자 60만 원 해서 260만 원 계상했습니다. 선수금상환에서 맹동산업단지 매각업체 임대료 반환금 450만 원 계상하고, 차입금 상환에서 맹동산업단지 차입금상환 10억 5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그리고 맹동산업단지 분양업체 임대보증금 매각대금 전환으로 3,054만 원 계상했습니다.
607페이지 그리고 나머지 예비비로 113억 2,700만 원 계상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손달섭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과장님 576페이지 무연고 간판 정비 1천만 원인데 음성에 현황이 어때요?
또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산업개발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안전총괄과 소관 예산에 대해서 안전총괄과장께서는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안전총괄과
먼저 617페이지 일반회계 예산안입니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으로 매년 5월에 실시하는 훈련으로서 자재비 및 홍보물 제작비, 훈련장비 임차료, 급식비 등 5백만 원을 계상하였고, 재난종합상황실 운영을 위하여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 재난종합상황실 유지보수 등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18페이지입니다. 재난예방 홍보를 위하여 안전총괄 업무추진 여비, 시책추진비, 급식비 등 1,700만 원, 안전문화 운동으로 사무관리비, 행사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와 연구개발비로 2,200만 원, 하단부 물놀이 안전시설 설치사업 자재비로 2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는 관내 물놀이 관리시설 봉학골산림욕장, 자연휴양림 등 4개소 계곡에 인명함과 구명함, 조끼 등을 보수 및 보충하는 예산이 되겠습니다.
619페이지입니다.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물놀이사고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표지판 설치사업비로 4백만 원, 자연재난예방 홍보를 위해서 방재 교재 및 홍보물 제작비, 업무추진 여비, 방재의날 행사 시상 및 행사참여 상해치료비로 1,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0페이지입니다. 재난예방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배수펌프장 시설관리 인건비 1백만 원, 전기안전수수료, 공공요금, 배수펌프장 시설장비 유지비 등 7천만 원과 배수펌프장 무인경비시스템과 시설 위탁관리비등 민간위탁금으로 1,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연재난 예방사업으로 6억 1,8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내용으로는 미불용지 보상금 2천만 원, 소이 금고지구 등 9개 지구에 대한 재해예방사업 2억 8,600만 원, 재해취약위험시설 긴급 정비사업으로 2억을 편성하였습니다.
621페이지입니다. 감곡면 월정리 주민이 건의하신 무선 재난방송시스템 구축비로 6,500만 원, 9개 읍면에 대한 장비임차료로 4,500만 원 재해예방사업에 대한 시설부대비로 2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율방재단 운영을 위해 재료비 1백만 원, 교육 및 활동 보상금 2,900만 원, 운영비와 보험료로 8백만 원, 태풍 등 피해 발생 시에 응급복구장비 등인 전기톱 등을 구입하고자 장비구입비로 4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태풍, 홍수, 호우 등 풍수해로부터 재산피해를 보상하는 풍수해보험 사업으로 3,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2페이지입니다. 서민밀집위험지역 정비사업으로 계속사업인 왕장지구에 10억 8천만 원 사업을 투입하여 0.3㎞ 경사지 정비와 2014년도 신규사업인 음성지구는 10억 원 사업비로 비탈면 정비 0.2㎞를 정비하고자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민방위 운영분야로서 민방위대 39주년 기념행사 참석자 보상금 1백만 원과 민방위 훈련에 따른 소화기 구입, 훈련 참가자 급식 제공 등으로 2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3페이지입니다. 민방위교육 및 운영을 위한 사무관리비, 업무추진 여비, 보상금으로 1,800만 원, 주민신고망 관리를 위해 홍보물 및 현수막 제작비로 4백만 원, 민방위 시설관리를 위해 비상급수시설 전기안전대행수수료, 민방위 경보시설 1개소와 급수시설 13개소 유지비 등으로 3,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비상대비훈련 예산은 8월의 을지연습과 7월의 화랑훈련 준비 및 실행을 위해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4페이지입니다. 2014년도 안전총괄과 특수시책인 계룡대 어린이 병영체험을 위해 2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병역법」제31조에 의거 공익근무요원 봉급, 중식비, 교통비 등으로 1,900만 원을, 국민참여 민방위의날 훈련 현수막 및 자재구입비로 1백만 원, 민방위기술지원대 등 전문교육비로 1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25페이지입니다. 중간 부분이 되겠습니다. 음성군 민방위 대원 4천여 명 교육을 위해서 일반 강사수당으로 4백만 원, 안보교육 강사수당으로 3백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626페이지입니다. 지원 민방위대대장, 대원 교육비와 복제비로 2백만 원, 민방위대원 화생방용 방독면 보급비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의용소방대장 이ㆍ취임식 공로패 제작 1백만 원, 의용소방대원 유공자 상패 제작 1백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627페이지입니다. 매년 실시하는 의용소방대 기술경연대회 1천만 원, 삼성의용소방대 건물 보수비로 3천만 원, 음성, 대소, 감곡 119안전센터 건축물 석면조사비로 3백만 원, 음성읍 의용소방대 난방기 구입비로 1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역방위 태세 구축을 위해 우리 군의 자매부대인 초산부대 창설기념일과 10월에 압록강 진격 기념식 교류사업비로 4백만 원, 향토방위 육성 지원을 위해서 통합방위 교류사업비로 2천만 원, 예비군육성지원 경상보조 3천만 원, 예비군육성지원 자본보조로 4,1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628페이지입니다. 「향토예비군 설치법」제14조3항에 의거 예비군 교육장비인 디지털 휴대용무전기 구입비로 1,400만 원, 생극면 전담의용소방대 청사의 차고와 사무실이 낡고 협소하여 신축비로 3억 7,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생극면 전담의용소방대는 현 부지에 사무실을 철거한 후 2층 콘크리트로 신축할 계획이며, 도비 1억 5천만 원과 군비 2억 2,500만 원이 되겠습니다.
629페이지입니다. 계속사업인 오갑천 하천 환경조성사업비로 20억 원, 지방하천 17개소 유지관리사업비로 6,700만 원을 전액 도비로 계상하였습니다. 깨끗한 하천 보전을 위해 입간판 제작비로 1천만 원, 9개 읍면에 대한 하천변 환경정비 2,700만 원, 국유재산 측량 및 등기 수수료로 6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30페이지입니다. 소하천 정비사업으로 계속사업인 맹동면 용두소하천과 2014년도 신규사업인 대소면 부윤소하천 정비를 위해 30억을 계상하였습니다. 소하천 유지관리사업비로 하천방재 업무추진 여비 6백만 원과 소하천 유지관리사업 13억 3,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음성읍 사정소하천 등 9개소에 대해서 5억 3,100만 원, 소하천 유지보수비 1억 원, 소하천 정비 종합계획 수립 용역비는 총 사업비인 36억 7,300만 원 중에 2013년도까지 15억 원을 확보하였으며, 2014년도 본예산에는 7억 원을 계상하고 나머지는 추경예산에 확보하여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631페이지입니다. 집중호우, 태풍, 대설 등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재해응급복구장비 유류비와 임차료 등으로 1억 8백만 원, 국가하천인 청미천 유지관리 사업비는 호수 보완, 제방 제초작업, 배수통문 등 1억 8,900만 원을 전액 국비로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안전총괄과 행정경비는 유인물로 대신하겠습니다.
다음은 632페이지입니다. 재난관리기금 전출금은 5억 7,600만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재산관리기금 예산안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635페이지부터 636페이지까지는 유인물로 대신하겠습니다.
637페이지입니다. 재난관리기금 수입 계획은 총 12억 8,800만 원으로 세부내역은 이자수입이 1,600만 원, 재난관리기금 보조금이 1,200만 원, 예치금 회수가 6억 8,400만 원, 일반회계 전입금이 5억 7,600만 원 편성되었습니다.
638페이지입니다. 재난관리기금 지출계획입니다. 전년 예산보다 1억 3,200만 원이 증액된 12억 8,800만 원 편성하였으며, 내용으로는 재난예방 홍보물 및 물품 제작, 물놀이 등 안전사고 예방 현수막, 경고판, 황사 대비 마스크, 안전문화 운동 및 재난예방 홍보물 제작 등 일반운영비로 3천만 원, 2014년도 예산 편성 주민 지원 및 민원 해결과 집중호우 시 피해가 예상되는 음성읍 동음리 소하천 등 12개소에 대하여 소하천 유지보수사업비 6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39페이지입니다. 화재 등 긴급재난 시 신속한 재난 대처를 위한 긴급구조활동 장비임차료 5백만 원과 수방자재 구입비로 3천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예치금 6억 1,800만 원, 하단부 도비 보조금 집행잔액 반환금 5백만 원이며, 내용은 지진가속계측기 설치사업과 제설제 구입비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640페이지부터 642페이지까지는 유인물로 대신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안전총괄과 2014년도 본예산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과장님 628페이지 시설비를 보면 도비가 1억 5천만 원이 확보돼서 생극 의용소방대를 신축할 계획이죠?
또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손달섭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안전총괄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원활한 회의진행을 위해 잠시 정회를 하고자 합니다.
회의는 11시10분에 속개하기로 하고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58분 회의중지)
(11시10분 계속개의)
다음은 보건소 소관 예산에 대하여 보건소장께서는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라. 보건소
645쪽입니다. 2014년도 세출예산안은 전년도 대비 4억 5,262만 5천 원이 증가한 95억 8,575만 원입니다. 세부사업으로 보건의료기반 구축을 위한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 사업비입니다. 시설비에 혁신도시 건강생활지원센터 신축공사비 6억 4,152만 원, 부윤보건진료소 증축공사비 1억 692만 원을 계상하였고, 감리비에 혁신도시 건강생활지원센터 신축 감리비 817만 1천 원, 시설부대비에 36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산 및 물품취득비에 보건사업차량 신규 구입비 1,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46쪽입니다. 보건행정지원 사업비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금왕보건지소 방사선사 인부임 1,954만 6천 원을 계상하였고, 사무관리비에 8개 보건지소 운영비 1,920만 원, 보건사업책자 유인 208만 원, 위생근무복 구입비 480만 원, 충북보건의날 체육대회 행사에 따른 피복비 및 급식비에 39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47쪽입니다. 보건시설 유지관리비입니다. 사무관리비에 전기안전관리 점검료 1,104만 원, 무인경비시스템 월정료 1,110만 원을 계상하였고, 공공운영비는 보건시설관리에 공공요금 및 제세, 연료비, 시설장비유지비, 차량선박비 등으로 2억 1,17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민간위탁금에 감염성 폐기물 처리비 33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48쪽입니다. 시설비에는 보건소를 비롯한 27개 보건기관 건물 보수비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건진료소 운영비입니다. 사무관리비에 18개 보건진료소 운영비 2,721만 6천 원,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 참석수당 1,782만 원, 보건사업 프로그램 운영비 6,840만 원, 내곡보건진료소 정면간판 제작비 2백만 원, 무인경비시스템 월정료 588만 원을 계상하였고, 공공운영비에 보건진료소 배상책임보험료 446만 4천 원, 공공요금 및 제세에 1억 2,146만 4천 원, 연료비 9백만 원, 시설장비유지비 1,8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행사실비보상금에 보건진료소운영협의회장 총회참석 교육비 270만 원, 보건사업 프로그램 운영 다과구입비 1,9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49쪽입니다. 기타보상금에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장 활동수당 1,080만 원을 계상하였고, 의료 및 구료비에 환자 진료 시 필요한 의약품 구입비 1억 8,900만 원, 의료소모품 구입비 1,53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민간위탁금에 감염성 폐기물 처리비 5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설비에 조촌보건진료소 주차장 확장공사 2천만 원, 부윤보건진료소 건물도색 및 물받이공사 4백만 원, 차평보건진료소 진입로 포장공사 1,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산 및 물품취득비에 자동혈압계 4백만 원, 안마의자 270만 원, 냉장고 대체구입 140만 원, 선풍기 120만 원, 다기능사무기기 대체구입 910만 원, 복합기 5백만 원 등 총 2,5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0쪽입니다. 지역단위 DMAT운영비로 의료 및 구료비에 지역재난현장 응급의료물품 구입비 1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감염병관리에 한센병환자관리지원 사업비입니다. 사회보장적수혜금에 취약계층의 한센양로자에 대한 생계비지원으로 478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1쪽입니다. 에이즈 및 성병 예방 사업비로 의료 및 구료비 에이즈감염인 진료비 281만 6천 원, 에이즈진단시약 구입비 2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결핵예방 사업비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결핵관리 전담인력 인부임 3,379만 3천 원을 계상하였고, 사무관리비에 결핵예방 홍보물 구입비 2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2쪽입니다. 의료 및 구료비에 병ㆍ의원 접촉자 검진비 280만 원, 입원명령자 입원비 및 생계비 160만 원, 결핵약품 기자재 구입비 1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감염병 예방관리 사업비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검사실 임상병리사 및 단시간근로자 인부임 2,096만 2천 원을 계상하였고, 사무관리비에 에이즈 예방의 날 행사비 2백만 원, 감염병예방 홍보물 제작비 7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공운영비에 의료영상 저장전송시스템 유지보수료 9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3쪽입니다. 감염병예방관리 사업비에 의료 및 구료비에 검사실 기자재 및 시약비 4,315만 원, 민간위탁금에 한센병 민간위탁금 1,7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방역소독 사업비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방역소독 인부임 1,317만 9천 원을 계상하였고, 재료비에 방역소독약품비 9천만 원, 해충기피제 385만 원, 재래식화장실 분제용 살충제 1,350만 원, 유충구제 약제 450만 원, 실내용 방역소독약품 1천만 원, 방역소독 유류대 1,765만 원, 보건진료소 방역유류대 1,76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4쪽입니다. 방역소독 행사실비보상금에 방역소독 자원봉사 활동비 720만 원, 민간위탁금에 방역소독 민간위탁금 1억 5,8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산 및 물품취득비에 보건진료소 휴대용 연막소독기 구입비 1,210만 원, 해충포획 방역소독장비 구입비 1천만 원, 방역관제시스템 장비 구입비 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가예방접종실시 사업비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예방접종등록센터 운영 인부임 2,155만 4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의료 및 구료비에 보건소이용자 약품비 9,046만 4천 원, 민간병ㆍ의원 접종비 지원 2억 7,353만 2천 원,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비 266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5쪽입니다. 인공면역획득 사업비로 의료 및 구료비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약품 구입비 9,36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예방접종 사업비입니다. 사무관리비에 예방접종 예진표 및 안내문 제작비 3백만 원, 의료 및 구료비에 예방접종 백신과 의료소모품 구입비 9,780만 5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감염병전문가교육 사업비는 사무관리비에 감염병전문가 교육비 349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6쪽입니다. 의료기관 필수예방접종 전액지원 사업비로 의료 및 구료비에 1,31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건진료에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지원 사업입니다. 민간위탁금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지원금 7,18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일반진료 사업비에는 의료 및 구료비에 의료지원 약품비 3백만 원, 의약분업 예외지역인 소이, 원남, 맹동 보건지소 약품비 2억 1천만 원, 이동진료 약품 및 소모품 구입비 5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치과진료 사업비는 의료 및 구료비에 치과진료약품 및 소모품 구입비로 6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7쪽입니다. 한방진료 사업비로 의료 및 구료비에 한방진료약품 및 소모품 구입비 6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암 조기검진 사업비는 민간위탁금에 암 조기발견 및 치료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자 암 조기검진비 6,273만 4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암환자의료비지원 사업비는 의료 및 구료비에 국가 암 조기검진을 통해 암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지원하는 치료비로 1억 63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8쪽입니다.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사업비는 연령별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건강진단으로 만성질환 및 건강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자 민간위탁금에 건강검진비 373만 8천 원을 계상하였고, 검진사업비는 사무관리비에 국가암관리 홍보물 제작비 36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검진 사업비는 민간위탁금에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검진비 1,86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방문보건관리에 보건진료원 보수교육비로 사무관리비에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보수교육비 360만 원을 계상하였고, 재가암환자관리 사업비는 행사실비보상금에 재가암 자원봉사자 활동비 4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59쪽입니다. 의료 및 구료비에 재가암환자 의료소모품 구입비 818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방문건강관리 운영 사업비로 사무관리비에 방문건강관리사업 운영비 및 홍보물 제작비 등 1,080만 원을 계상하였고, 의료 및 구료비에 가정방문을 통한 건강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혈당스틱 및 란셋 구입비 1,400만 원, 중증재가환자 위생용품 5백만 원, 재가암환자 약품 및 소모품 4백만 원 등 의료소모품 구입비 총 3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산 및 물품취득비에 건강한 경로당 어깨안마기 구입비 4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0쪽입니다. 지역사회건강조사사업비는 지역주민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를 파악하여 건강통계를 생산하는 사업으로 민간위탁금에 지역사회건강조사비 4,611만 4천 원을 계상하였고,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사업비는 사무관리비에 만성질환관리 및 건강조사전문가 FMTP교육비 3백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만성질환관리 사업비는 사무관리비에 홍보물 제작비 6백만 원, 심전도검사 판독비 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1쪽입니다. 만성질환관리에 의료 및 구료비에 만성질환 합병증검진 시약 및 소모품 구입비 1천만 원, 민간위탁금에 만성질환자 합병증 검진비 4백만 원을 계상하였고, 자산 및 물품취득비에 콜레스테롤 측정기 구입비 6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정신건강증진센터 운영비로 민간위탁금에 정신건강증진센터 운영비 1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사업비는 민간위탁금에 치매치료관리비 4,73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2쪽입니다. 치매상담센터 운영 사업비로 사무관리비에 치매상담센터 운영비 824만 원, 정신요양시설 운영 사업비로 사회보장적수혜금에 정신요양시설 운영비 29억 3,107만 7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비는 민간위탁금에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비 3,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치매환자 돌봄 재활지원 사업비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외에 치매환자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여 환자보호에 대한 가족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의료 및 구료비에 시설이용료 지원비 3,677만 8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보건진료소 보조인력 지원 사업비는 보건진료소에 일시사역인부를 지원하여 보건진료원의 진료 외 업무 경감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보건진료소 보조인력 인부임 5,9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3쪽입니다. 아동청소년 정신보건 사업비는 민간위탁금에 아동청소년 정신보건 사업비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생활실천에 건강생활실천 사업비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금연규제시설점검단 인부임 1,647만 4천 원, 사무관리비에 야간운동 강사수당 1,200만 원, 어르신건강체조교실 강사수당 5,2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구강건강관리 사업비로 의료 및 구료비에 의치보철사업 시술비 1억 4,974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4쪽입니다. 구강보건 사업입니다. 사무관리비에 구강보건교육자료 및 홍보물 제작비 2백만 원, 행사운영비에 구강보건의날 행사 운영비 3백만 원을 계상하였고, 의료 및 구료비에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의료소모품 구입비 250만 원, 불소겔 및 불소바니쉬 도포사업비 5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산모건강관리 사업입니다.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난임부부지원사업 인부임 2,100만 원, 의료 및 구료비에 체외수정 시술비 9,476만 7천 원, 인공수정 시술비 1,359만 2천 원,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에 24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5쪽입니다. 산모신생아 도우미지원 사업비 6,948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영유아건강관리 사업비는 의료 및 구료비에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에 7,853만 5천 원, 신생아 청각선별검사비 574만 9천 원,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비 2,304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6쪽 출산장려금 지원 사업비입니다. 사회보장적수혜금에 출산장려금 지원비 6억 8,8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사업비는 의료 및 구료비에 발달장애 의심아동 확진비 199만 6천 원, 민간위탁금에 영유아 건강검진비 114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모자보건 사업비는 임산부의 산전ㆍ산후관리로 산모의 건강과 영유아에 대한 기초건강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사무관리비로 모자보건 홍보물 제작비 580만 원, 유축기 소모품 구입비 2백만 원, 임신출산교실 등 각종 모자보건교실 강사수당으로 1,62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7쪽입니다. 사회보장적수혜금에 첫째자녀 출산장려금에 1억 5백만 원, 의료 및 구료비에 임산부 영양제 구입비 8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 사업입니다. 기존에 개별사업으로 운영되던 11개 사업을 통합하여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주민의 건강 제고에 부응하는 지역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방문건강관리사 인부임 2억 8,849만 원, 통합건강증진사업 인부임 2억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관리비에 통합건강증진사업 전문인력 교육비 960만 원,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운영비 및 강사수당 5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8쪽입니다. 사무관리비에 건강생활실천사업 운영비 및 강사수당 2천만 원, 금연사업 운영비 및 강사수당 1,600만 원, 영양플러스사업 운영비 7백만 원,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운영비 및 강사수당 3천만 원,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사업 운영비 및 강사수당 등 53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69쪽입니다. 행사운영비에 아토피 안심 학교로 찾아가는 인형극 5백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행사실비보상금에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 운영 간식비 120만 원, 자원봉사활동비 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0쪽입니다. 의료 및 구료비에 금연보조제 구입비 3,328만 2천 원, 보충영양식품비 7,395만 원, 우유보충식품비 4,200만 원, 한방의약품 및 의료소모품 구입비 1,100만 원, 임산부 철분제 구입비 1,082만 4천 원, 학교구강보건실 소모품 구입비 392만 원, 노인불소겔 도포, 스케일링 소모품 구입비 340만 2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671쪽입니다. 의료 및 구료비에 아토피, 천식검사비 및 의료비지원금 750만 원, 고지혈증 검사비 6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민간위탁금에 치매 조기검진비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고지혈증제로 사업비로 사무관리비에 고지혈증제로 사업 운영비 46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한방건강체험관 운영 사업비는 행사운영비에 한방건강체험관 운영비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2쪽입니다. 행정운영경비 인력운영비입니다. 기타직보수에 공중보건의사 진료활동장려금 2억 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본경비에 일반운영비는 행정운영에 필요한 기본경비로 생략하고, 하단에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컴퓨터 본체 대체구입비 1,425만 원, 모니터 대체구입비 17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673쪽입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에 난방기기 1백만 원, 프린터 140만 원, 복합기 1백만 원, 선풍기 110만 원, 텔레비전 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끝으로 위원님들의 적극적인 성원과 협조로 2014년도 세출예산이 원안대로 승인되어 보건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2014년 세출예산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김순옥 위원님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손수종 의장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소장님 654페이지 자산취득비에 보면 진료소에 휴대용 연막소독기, 지금 현재 휴대용 연막소독기를 몇 대 보유하고 있죠?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보건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계획된 예산안 심사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내일 오전 10시에 이 자리에서 농업기술센터, 수도사업소의 예산심사를 계속 하겠습니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면 오늘 회의를 모두 마치고자 합니다.
위원 여러분! 다른 의견이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다른 의견이 없으므로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44분 산회)
정태완 위원 조천희 위원
손달섭 위원 이대웅 위원
김순옥 위원
○위원아닌의원
의장손수종
○출석전문위원
전문위원이병호
전문위원정성호
○출석공무원
기획감사실장주상열
도시건축과이규공
산업개발과허금
안전총괄과김웅기
보건소장김주오
○회의록서명
위원장정태완